자기애 강할수록, 문화 ‘잡식’한다? l 불안감 높은 예술가들, "도전에 잘 대처" 연구결과 Artists Are More Anxious Than People in Other Professions


자기애 강할수록, 문화 ‘잡식’한다 (연구)


     자기애가 강한 사람일수록 저급문화부터 고급문화까지 다양한 문화를 함께 즐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문화생활을 즐기기 어려웠다. 이제 문화생활은 사치가 아닌 일상의 일부가 됐다는 점에서 영화관이나 박물관 등을 이용하지 못하는 최근 상황이 불만족스럽게 느껴지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The Independent

edited by kcontents


특히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한 문화를 즐기는 사람들이라면 더욱 그렇다. B급 정서가 담긴 가벼운 오락 콘텐츠부터 교향곡이나 협주곡 같은 클래식,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VR게임까지 다양한 문화체험을 즐기는 사람들이 있다.




하나에 꽂혀 열광하기보다 문화를 잡식성으로 섭취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 식자층이 좋아할 법한 고상한 취향과 대중적이고 키치한 문화들까지 골고루 향유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최근 연구의 답은 이렇다. ‘미학, 창의성, 예술 심리학(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저널’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문화 잡식성은 특정한 성격적 요인과 밀접한 연관을 보인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고급문화와 저급문화는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라 나뉘었다. 오페라, 오케스트라, 미술 전시 등은 교양 있는 사람들이 즐기는 문화였다면 길거리 공연, 그래피티 등은 보다 낮은 수준의 문화로 경계선이 그어졌다는 것. 또 전자의 문화는 예술성을 인정받았다면 후자는 내재적 동기에서 비롯한 욕구나 욕망 등이 투여된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오늘날은 두 문화 사이의 경계가 흐릿해졌고, 이를 함께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연구팀은 이 두 문화를 특히 함께 즐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성향을 확인해보았다. 나르시시즘, 자존감, 본능적 욕구 등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를 진행한 뒤 이것이 문화를 즐기는 방식과 연관이 있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나르시시즘이 강한 사람, 자존감이 떨어지는 사람에게서 문화 잡식성 성향이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자기애가 강하면서도 자신감 부족으로 불안정한 심리를 가진 사람이 두 가지 문화를 함께 소비하는 경향이 강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나르시시스트의 문화 소비 목적을 파악하기 위해 또 하나의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고급문화에 해당하는 예술 작가와 대중문화 예술가 등 두 명에 대한 전기를 마련했다. 실험에 참여한 학부생 144명은 전기를 읽고 난 뒤 두 예술가들의 작품을 보았다. 그리고 해당 작가의 전시회를 방문하거나 주변에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답했다. 작품에 본능적으로 이끌리는지도 평가했다.


그 결과, ‘불안정한 나르시시스트’ 성향을 가진 학생들이 특히 고급문화와 저급문화를 둘 다 소비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자기애와 자신감 부족이 결합할 때, 사회적 지위를 염두에 둔 고급문화와 자신의 욕구를 드러내는 수단인 저급문화 모두에 대한 소비 심리가 생긴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개인의 기질이 문화를 소비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 이번 연구의 의미를 담았다. 단,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경계가 무엇인지, 나르시시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특징은 없는지 살피는 후속 연구가 나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코메디닷컴


Artists Are More Anxious Than People in Other Professions—But They Are Also Better at Coping With Challenges, a New Study Finds

Researchers at the Yale Center for Emotional Intelligence found that creativity is higher among people with certain psychological traits.


In 1963, the pioneering creativity scholar Frank Barron wrote that the “creative genius… is both more primitive and more cultured, more destructive and more constructive, occasionally crazier and yet adamantly saner than the average person.”


Peter Saul, Head Office (1963). Courtesy Leslie Hindman Auctioneers, Chicago.


 

불안감 높은 예술가들, "새로운 도전에 더 잘 대처" 연구결과

 

   1963년, 선구적인 창조학자인 프랭크 배런은 "창의적인 천재...는 더 원시적이고 교양이 있고, 파괴적이고, 건설적이며, 때로는 더 미치광이 짓을 하지만, 보통 사람보다 더 확고하게 제정신"이라고 썼다.




그는 주로 성격 테스트와 창의적인 개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형성된 그의 모순된 주장은 대담할 뿐만 아니라, 사실이 될 수도 있다.


예일 감정지능센터의 연구자들은 최근 바론이 오늘날 사회과학자들 사이에서 표준화된 경험적 방법의 개발 이전에 도달한 아이디어를 취하여 이를 측정하고 계량화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미학, 창조, 예술의 심리학 저널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를 위해, 연구원들은 예술가들이 비창조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심리적 취약성과 더 많은 심리적 강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내기 시작했다.


그들은 309명의 예술가를 대상으로 미국 최고 예술 학교의 교수진과 예술 교육을 받지 않은 비슷한 규모의 노동자 표본을 조사했다. 두 그룹 모두 일상 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불안, 우울의 정도라고 정의되는 "미친" 측면(또는 "정신적 취약성")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실험 대상자들에게는 자기 수용, 개인적 성장, 긍정적 관계, 자율성, 희망, 자아 회복력 등의 다양한 특성을 포함하는 그들의 "정신적 자원" 측면(일명 "정신적 자원")에 대한 질문도 받았다.


그 결과, 예술가들은 스트레스와 불안감에 대한 대처뿐만 아니라 희망, 자아 회복력, 심리적 안녕을 나타내는 조치들에 대해서도 적당히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바론이 표현한 대로 예술가들은 비예술가보다 '미친 사람'이자 '미친 사람'이었다.(예술가들은 우울증에서 전혀 다르게 평가하지 않았고, 사람들의 생활환경에 대한 통제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환경적 지배'를 제외한 모든 긍정적인 범주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YouTube




연구에 따르면 심리적 강점과 심리적 약점 사이의 관계가 핵심이다: 연구 공동저자인 조라나 이브체비치 프링글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등의 증상을 더 많이 경험하면 희망을 가지거나 심리적으로 잘 살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 맞다"라고 쓰고 있다. 약 10%의 사람들만이 두 가지 경우 모두 높은 순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적당한 수준에서 상호작용이 창조적인 성과를 예측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왜 이러한 취약성과 자원의 상호작용이 더 높은 창의성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명확히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한가지를 제시한다: 스트레스와 정신질환은 "경험을 파괴하는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Ivcevic Pringle은 Artnet News에 이메일을 통해 "심리학적 취약성은 사람들에게 다른 관점을 제공한다"면서 "아마도 고통이나 더 넓은 범위의 인간 경험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는 관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기철 콘페이퍼 에디터 큐레이터

Ki Chul Hwang, conpaper editor, curator

edited by kcontents



His contradictory claims, which he formed largely through personality tests and interviews with creative individuals over the course of his career, were not only bold—they may turn out to be verifiably true.


Researchers at the Yale Center for Emotional Intelligence recently took Barron’s ideas, which he arrived at before the development of empirical methods that are now standard among social scientists today, and found ways to measure and quantify them.




For a new study published in the journal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the researchers set out to determine whether artists possess more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and more psychological strengths than people who work in non-creative fields.


They surveyed 309 artists on faculty at top US art schools and a similarly sized sample of workers who had no training in the arts. Both groups were asked about their “crazy” sides (or their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in updated parlance), which were defined as the degree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they experience in their everyday lives. Subjects were also asked about their “saner” sides (aka their “psychological resources”), which include a range of characteristics such as self-acceptance, personal growth, positive relationships, autonomy, hope, and ego resilie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artists ranked moderately higher on the stress and anxiety measures, but also on those indicating hope, ego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the artists were both “crazier” and “saner” than the non-artists, as Barron phrased it. (The artists did not rate any differently in depression, and they rated higher in all of the positive categories except “environmental mastery,” which indicates how much control people feel over their life circumstances.)


stapletonartists.org

edited by kconten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rengths and psychological weaknesses are key: Most of the time, individuals who have more vulnerabilities also have fewer resources. “It makes sense that if people experience more symptoms of stress, anxiety, or depression, they are less likely to have hope or be psychologically well,” writes study co-author Zorana Ivcevic Pringle. Only about 10 percent of people have higher degrees of both. And it is that interaction, on a moderate level, that tends to predict creative achievement.




The study doesn’t explicitly answer why this interplay of vulnerabilities and resources correlates with higher creativity. But it proposes one suggestion: that stress and mental illness can be “diversifying experiences.”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give people a different perspective,” Ivcevic Pringle told Artnet News in an email, “perhaps a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suffering or knowledge of a broader range of human experience.”


But for these experiences to also enhance creativity, people also need to have strengths “that enable them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of their circumstances,” the researchers write. So, in short, a little bit of adversity can go a long way—but only if it doesn’t break you in the process.


https://news.artnet.com/art-world/artists-psychology-yale-study-1848138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