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으로 줄어든 전력량...LNG 대체 발전비용으로 3조원 증가


脫원전 3년…LNG 발전비용 3조원 더 늘었다

원전 비중 30→25%로 축소
전력수요 충당하려 LNG 수입↑


"LNG 비싸고 단가 들쑥날쑥한데
싼 원전 놔두고 외화 낭비한 셈"

 


    정부가 탈원전을 국정 과제로 삼은 2017년부터 3년 동안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대비 발전용 LNG 도입량만 연평균 300만t 넘게 증가했다. 기저 발전원인 원전을 대체할 에너지로는 가스 발전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2016년의 원전 및 LNG 발전량 비중을 그대로 유지했다면 지난 3년간 3조원 넘는 전력발전 비용을 아낄 수 있었을 것으로 계산됐다.

LNG 발전소/한국경제

 


edited by kcontents

연간 15%씩 상승한 LNG 발전량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가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및 한국전력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이후 LNG 발전량 증가에 따른 기회손실이 3조2449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다. 원전 이용률이 뚝 떨어지면서 대체 연료인 LNG 수입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LNG 발전 비중이 확대되면서 추가로 수입한 발전용 LNG 도입량에다 매년 달라진 단가 및 환율을 곱한 금액 기준이다. 2017년엔 697억원의 기회이익이 발생했으나 2018년 2조488억원, 작년 1조2658억원 손실이 났다는 게 주 교수의 설명이다.

2016년만 해도 22.4%였던 LNG 발전 비중은 2017년부터 3년 동안 연평균 24.7%로 높아졌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 원전 24기 발전 비중은 30.0%에서 3년 평균 25.5%로 떨어졌다.

 


2016년 13.8GWy(연간 기준 기가와트)이던 LNG 발전량은 2017년 14.0GWy, 2018년 17.4GWy, 작년 16.1GWy로 집계됐다. 발전용 LNG 수입도 덩달아 급증했다. 20161660만t이던 LNG 수입량은 지난해 1970만t으로 늘었다.

주 교수는 “원전은 값이 싸고 안정적이어서 수십 년간 기저 발전 역할을 해왔는데 2017년부터 이용률이 뚝 떨어졌다”며 “전력수요를 급히 대체하기 위해 LNG 발전량을 연평균 15%씩 늘린 결과 3조원 이상의 외화가 낭비됐다”고 지적했다.

“가스 발전은 원전과 역동조”

원전과 LNG 발전량은 완벽한 ‘역동조’ 관계를 보인다는 게 원전업계의 설명이다. 원전 이용률이 떨어지면 LNG 발전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예컨대 원전 발전 비중이 23.4%까지 떨어진 2018년 LNG 비중은 26.8%로 확대됐다. 2016년 각각 30.0%, 22.4%였던 두 발전원 비중이 역전된 것이다. 2018년 LNG 수입액은 228억달러로, 2014년(314억달러)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LNG의 발전 단가가 원전에 비해 훨씬 비싸다는 게 문제다. 한전 통계에 따르면 작년 1~11월 원전 전력구입 단가는 킬로와트시(kWh)당 56.40원이었다. 반면 LNG 단가는 두 배 넘게 비싼 120.37원이었다.


정용훈 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LNG 발전의 이용률은 연중 30~40%에 불과하기 때문에 급하게 전력을 생산하기엔 적당하다”며 “다만 국제 연료비 자체가 높고 가격도 들쑥날쑥해 기저 발전으로 쓰기 어렵다는 한계가 뚜렷하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7년 이후 LNG 수입액이 급증한 건 사실이지만 탈원전 정책 때문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일본 후쿠시마 사태 이후 원자력에 대한 안전 기준이 대폭 강화된 데다 원전 인근 주변의 민원도 크게 늘었다”며 “LNG 발전 비중이 확대된 게 에너지 전환 정책 때문이라고 볼 근거가 없다”고 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한국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