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순환골재 사용으로 경제적·환경적 편익 발생...연간 1조8000억

 

건설폐기물 활용 ‘순환골재’ 재조명… 비용절감·환경보호 ‘1석 2조’


폐콘크리트 등 파쇄·분쇄
품질인증 절차 거쳐 재사용
천연골재와 품질 손색없어
경제효과 연간 1조8000

공공·민간 사용 10%대 그쳐
막연한 불안감 해소 급선무


     건축물은 골재(骨材)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이 집약돼 완성된다. 건설의 기초 재료로 쓰이는 모래와 자갈인 골재가 견고하지 않으면 건축물의 안전도 보장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전국의 강과 바다, 산에선 양질의 천연골재를 채취해 공급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한 환경 훼손이 어느덧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하면서 곳곳에서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천연골재의 훌륭한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순환골재다. 재건축·재개발 현장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등 각종 건축 폐기물을 물리적(파쇄·분쇄)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한 후 품질 기준에 적합하게 만든 골재다. 순환골재는 우리 주변의 도로 공사와 주차장 겉흙, 매립시설의 복토 등으로 점차 사용이 늘어나고 있지만, ‘폐기물로 만들었다’는 막연한 고정관념과 편견 때문에 이용 저변이 크게 확대되지는 못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무분별한 천연골재 채취와 건설 폐기물 증가에 따른 환경 훼손을 막고, 저렴한 비용으로 빨리 공사를 마칠 수 있는 순환골재 사용을 확산하기 위해 법률과 제도를 마련, 시행해왔다.

24일 환경부와 한국건설자원협회에 따르면, 정부는 2003년 12월 건설폐기물의 친환경적 처리 방법과 순환골재의 사용 의무 및 품질 기준 등을 명시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2005년 1월부터 시행했다. 이 법이 시행된 같은 해 11월엔 순환골재 수요 확대를 위해 의무사용제도가 시행됐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건설공사를 발주하는 경우 순환골재 및 순환골재 재활용 제품 등을 일정량 이상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1㎞ 이상 신설 또는 확장되는 도로공사, 15만㎡ 이상 규모 산업단지 조성공사, 30만㎡ 이상 택지개발 사업 등이 대상이 됐다. 미이행 시엔 1000만 원 이하 과태료 부과 조항도 만들어뒀다.

이듬해인 2006년 4월엔 순환골재에 대한 품질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품질인증 제도’를 시행했다. 도로공사용, 콘크리트 제조용 등 순환골재의 용도별 품질기준을 정한 것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순환골재 생산업체의 사업장과 제품을 직접 심사해 인증을 부여하는 형태다. 실제로 순환골재의 품질 기준은 폐기물을 재활용했다고 해서 천연골재보다 뒤떨어지지 않는다. 한국산업규격(KS)의 순환골재 품질기준 비교표에 따르면,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 기준으로 순환골재의 절대 건조밀도는 2.5g/㎤ 이상으로 천연골재와 같다. 흡수율(3.0% 이하)과 안정성(12% 이하) 분야도 순환골재와 천연골재의 기준이 같아 실제로 기준 시험을 통과해 건설 현장에서 쓰이는 제품의 품질은 상호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수준이다.

 


사회·경제적인 효과까지 감안하면 순환골재 사용 당위성은 명확해진다. 환경부가 발표한 ‘2017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을 보면, 2017년 국내에서 하루에 발생한 폐기물 41만4626t 중 건설폐기물 비중은 47.3%(19만6262t)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다. 순환골재로 사용된 실질 비율과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정부 정책 효과 등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률이 매년 95%를 웃돌고 있다는 점에서 천연골재 채취 목적의 환경 훼손과 매립으로 인한 토양 오염을 상당 부분 막았다는 의미가 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2017년 기준으로 66848000t의 순환골재가 생산됐는데 이것이 건설 현장에서 쓰이면서 최대 1조8000억 원의 경제적·환경적 편익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제도적 지원에 앞장서고 순환골재의 장점이 현장에 알려지면서 건설 폐기물 재활용 산업 규모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실적은 1조21825700만 원 규모였다. 공공기관이 70736400만 원 규모로 발주했고 민간 건설사도 51089300만 원으로 뒤를 받쳤다. 2014년 이래 공공과 민간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같은 기간 민간의 발주액이 23665800만 원에서 2배 이상으로 늘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골재 총 수요량 대비 순환골재 사용 비율이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연도별 골재수급 계획에 따르면, 그동안의 다양한 제도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2017년 기준 전국 골재 수요 2억5610만㎥ 중 순환골재 사용 비중은 14.3%(36578000㎥)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됐다.

 

 

논산시 생활용수관·대구도시公 산업도로 예산 수억 절약
순환골재 우수활용 사례

불러오는 중입니다...

정부와 민간업계는 순환골재 사용을 활성화하고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10년부터 현장 우수 활용사례를 공모, 포상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순환골재를 사용한 건축물 시범사업을 진행해 2013년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입장휴게소에 152㎡ 규모의 ‘되돌림 화장실’을 선보이기도 했다.

그 결과, 현재 전국 각지 현장에서 순환골재와 순환골재 재활용 제품 사용이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절감된 예산으로 기존 대비 품질 면에서 손색없는 건설공사가 이뤄지고 있다.

어반디엔씨
edited by kcontents

24일 환경부·국토교통부·한국건설자원협회에 따르면, 지난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제주 서귀포시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에서 올해 10회째로 ‘순환골재·순환골재 재활용 제품 우수 활용사례 발표 및 국제 세미나’가 개최됐다.

환경부와 국토부가 올해 4월부터 5월까지 전국적으로 공모해 심사한 결과, 충남 논산시와 대구도시공사가 국무총리 표창 수상 기관으로 선정됐다.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산업단지사업단과 한국수자원공사 엠티브이(MTV)건설단은 환경부장관상 수상 기관으로, 충남 부여군 상하수도사업소와 대구시설공단이 국토부 장관상 수상 기관으로 각각 확정됐다.

환경부와 국토부에 따르면, 논산시는 2013년 1월부터 가야곡2지구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사업 등 7개 공사를 시행하면서 도관 부설용으로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한 순환골재를 총 6만9294㎥를 사용해 3억8000여만 원의 예산을 절약했다.

 


대구도시공사는 2014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수성의료지구단지 조성 공사를 하면서 순환골재 1만4958㎥와 순환아스콘 1만1471t으로 도로의 틀을 닦았다. 그 결과 천연골재를 사용하는 것보다 4억4000여만 원의 비용을 아낄 수 있었고 원활하고 신속한 단지 조성에도 이바지했다.

대구시설공단은 2016년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순환아스콘 4만2448t을 반야월로(반야월삼거리∼율하교) 포장보수 공사 등 29개 현장에 투입했다.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도로의 보조층에 사용한 것을 시작으로 주요 간선도로와 관문도로까지 사용을 확대한 결과, 5억3000여만 원의 예산으로 신형 아스콘과 같은 효과를 냈다.

부여군 상하수도사업소는 2016년 8월부터 올해 11월까지 순환골재 3만6092㎥와 순환아스콘 2만9661t을 하수관로 정비사업 등 7개 현장에 연약지반 채움재와 도로공사용으로 대폭 사용했다. 이로 인해 4억9000만 원의 예산을 아끼고 친환경적인 공법을 적용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노기섭 기자 mac4g@munhwa.com 문화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