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뚱한 짓 하는 '국민연금' 보란듯 4% 수익내는 공제회들


엉뚱한 짓 하는 '국민연금' 보란듯 4% 수익내는 공제회들


해외·대체투자의 힘

주요 공제회 지난해 수익 발표


국민연금 최악실적 기록할때

공제회는 증시 하락장 비껴가

50% 달하는 해외투자 비중덕

유연한 포트폴리오 구성 한몫


600조굴리는 `공룡` 국민연금

국내주식비중 줄이기 어려워

"조직분할통해 경쟁 유도하고

외부 간섭 차단해야" 제언도


    지난해 국민연금과 국내 주요 공제회들의 운용 수익률이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국민연금이 -0.92%를 기록하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반면 교직원공제회·행정공제회·군인공제회 등 국내 공제회 `빅3`(자산 규모)는 모두 3~4%대 운용 수익률을 달성하며 대조를 이뤘다. 




국민연금, 수익 늘릴 생각 안하고 애꿎은 기업 후려칠 생각만

대통령이 직접 나서 기업 정리하려는 듯

(케이콘텐츠편집자주)



국민연금, 채권 들고 안주…캐나다는 대체투자 늘려 고수익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19/03/179657

edited by kcontents


지난 25일 결산보고를 마친 교직원공제회는 지난해 기금운용 수익률 4.1%를 기록했다. 교직원공제회는 "부동산, 인프라, PEF 등 투자처를 다변화하는 방향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한 것이 양호한 수익 달성의 비결"이라며 "2019년은 4.7% 수익을 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2018년 자산 규모 34조6099억원을 기록한 교직원공제회는 국내 공제회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자산 규모 12조2000억원으로 두 번째로 큰 규모인 행정공제회 역시 지난해 기금운용 수익률 4%를 기록했다. 국내 공제회 가운데 세 번째로 큰 군인공제회(자산 규모 10조7856억원) 역시 지난해 기금운용 수익률 3.8%를 달성했다. 


국내 주요 공제회가 국민연금과 달리 양호한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었던 비결은 상대적으로 높은 해외 투자 비중과 유연한 포트폴리오 구성 덕분이다. 


행정공제회는 2017년 40%였던 해외투자 비중을 지난해 47%까지 끌어올리며 해외에서 수익을 찾는 데 집중했다. 지난해 해외투자 비중 42%를 기록한 교직원공제회는 올해 43.6%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반면 국민연금의 지난해 해외투자 비중은 30.1%에 머물렀다. 국민연금이 2023년까지 해외투자 비중을 40%까지 늘린다는 계획이지만 공제회의 해외 투자 비중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한 공제회 관계자는 "주식이든 대체투자든 국내 경기 상황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결국 해외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유연한 포트폴리오 구성 역시 공제회와 국민연금의 차이 중 하나다. 


행정공제회는 본래 지난해 주식투자 비중 목표가 20%대 초반이었지만 실제로는 15.2%에 불과했다. 국내외 증시 변동성이 커지자 주식 비중을 낮추는 데 주력했고, 이는 전체 운용 수익률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기에 대체투자 비중을 꾸준히 끌어올려 수익을 내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교직원공제회 역시 2014년 40% 수준에 머물던 대체투자·기업금융 부문 비중을 지난해 56.6%까지 확대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거두는 데 성공했다. 반면 국민연금은 지난해 주식투자 비중이 35%에 달했고, 기대 수익률이 낮은 채권 비중(52.9%)을 높게 유지하면서 자산의 변동성을 낮추는 데만 주력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처럼 국민연금과 공제회의 성과가 엇갈린 데는 우선 운용 규모에서 엄청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국민연금 운용자산은 639조원이지만 공제회는 각각 10조~32조원 수준이다. 


때문에 국민연금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시장 상황에 맞게 조절하는 게 불가능하다. 국민연금 자산의 자사 편중(홈바이어스)을 감안하면 국내 주식과 채권 등을 매도할 경우 시장을 뒤흔든다는 비판을 피하기도 어렵다. 




특히 국민연금은 국민 노후자금을 관리하는 만큼 자산의 변동성을 줄이는 데도 전념하지 않을 수 없다. 국민연금은 해마다 5년 단위 자산배분 계획을 세워 포트폴리오를 관리한다. 실제 투자는 미리 세운 오차범위 허용치 안에서 움직여야 한다. 대체투자의 허용 범위는 -3.4~2.4%포인트로 올해 말 기준 대체투자 비중은 15.1%를 초과할 수 없다. 


하지만 공제회가 국민연금보다는 `민간 영역`에 있는 장점을 무시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공제회 관계자는 "공제회는 매년 회원들에게 수익 배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절대 수익`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 4분기처럼 주식시장 변동성이 크고 어려울 경우 공제회는 자체적인 판단하에 주식 비중을 적극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경제


기업이 실험대상인가?…국민연금, 주먹구구식 운영으로 논란 자초/한진칼, 3시간 진통 끝에 국민연금 제안 `무산'

https://conpaper.tistory.com/76378

국민연금 주주권 행사의 심각한 위험

https://conpaper.tistory.com/76363

edited by kcontents


국민연금은 반면 투자전략과 집행을 감시하는 `시어머니`가 많다. 보건복지부, 국회, 감사원 등 정부와 정치권의 간섭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 공제회 관계자는 "과거 캐나다 국민연금도 정치인과 공무원이 쥐고 흔들면서 엉망이 됐고, 당시 캐나다 총리가 나서 정치인·공무원들의 영향력을 줄인 이후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고 지적했다. 


외부 간섭 배제와 유연성을 갖추기 위해 국민연금 기금운용 조직을 분할해 경쟁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준행 서울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민연금은 향후 국내총생산(GDP)의 50%가 넘는 규모까지 커지면서 연못 속 고래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기금의 일부를 외부운용조직(OCIO) 2~3개에 50조원씩 배분해 분할 운용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며 "수익률의 핵심인 중기 자산 배분안은 경쟁을 유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스웨덴은 2001년부터 국가연금펀드(AP)를 4개의 펀드(AP1~4)와 1개의 벤처펀드(AP6)로 분할해 운용하고 있다. 정치적 이해관계로부터 독립성을 갖추는 동시에 상호 경쟁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는 구조다. 

[정석환 기자 / 유준호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