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로봇 피부' 개발 DEVELOPED A TACTILE SENSOR THAT CAN ACT AS A SKIN FOR A ROBOT


기계공학과 김정·박인규 교수 공동 연구팀

다양한 형태의 촉감 구분

전기 배선 필요없고 강한 충격에도 버텨 


   국내 연구진이 실리콘과 탄소 소재를 이용해 로봇의 피부 역할을 할 수 있는 촉각 센서를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로봇 피부는 망치로 내려치는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다./KAIST 제공


DEVELOPED A TACTILE SENSOR THAT CAN ACT AS A SKIN FOR A ROBOT

http://conpaper.tistory.com/49199

edited by kcontents


KAIST는 기계공학과 김정·박인규 교수 공동 연구팀이 사람의 피부처럼 충격을 흡수하고 다양한 형태의 촉감을 구분할 수 있는 이른바 ‘로봇 피부’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source kaist

edited by kcontents


사람에게 피부는 주요 장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섬세한 촉각 정보를 측정 및 구분해 신경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로봇의 경우 시각·청각 능력은 인간의 능력치에 근접해지고 있지만 촉각 능력은 인체의 피부에 비해 부족하다.


인체 피부와 유사한 기능의 피부를 로봇에 적용하려면 신축성이 좋아야 하고 충격을 잘 흡수하는 피부 센서 개발이 필요하다. 전기 배선을 통해 로봇 몸체 전체에 분포시키는 많은 센서를 연결하는 기술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Computer interface using piezoresistive nanocomposite source kaist

edited by kcontents


연구팀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리콘과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해 복합재를 만들고 전기임피던스영상법(EIT)으로 불리는 의료 영상 기법을 적용했다. EIT는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의 표면에 전극을 부착하고 전류를 주입한 뒤 주변부의 전압을 측정해 내부의 저항 분포를 추정, 영상으로 복원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해 연구진은 넓은 영역에 가해지는 다양한 형태의 힘을 전기 배선 없이도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로봇 피부로 실험한 결과 망치로 내려치는 수준의 강한 충격에도 견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센서의 일부가 파손돼도 파손 부위에 복합재를 채운 뒤 경화시키면 재사용이 가능하다.


김정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로봇 피부는 3D 프린터로 만든 3차원 형상 틀에 복합재를 채워넣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며 “다양한 형태의 위치나 크기 등을 촉각으로 구분할 수 있고 충격 흡수가 가능한 로봇의 피부, 촉각 센서 등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민수 기자 조선비즈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03/2017020300345.html#csidx6ea4975fa76ef76ac85c0a48608df0b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