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 포함된 슬레이트 지붕 없앨 대책을"- 이시진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석면 제거 작업원들이 석면 슬레이트 지붕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출처 서울타임스


이시진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슬레이트 지붕에 삼겹살을 구워 먹던 추억을 떠올리는 분이 많을 것이다. 산업화가 한창이던 70년대에 슬레이트는 공업용과 건축 자재로 광범위하게 활용됐고, 특히 초가지붕 개량에 집중적으로 쓰였다. 실제 슬레이트는 초가지붕 일색이었던 농촌 풍경을 확 바꿀 정도로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슬레이트는 초가지붕보다 가볍고, 단단하고, 단열이 잘될뿐더러 가격까지 싼 장점이 있었다. 슬레이트에 든 석면 때문이다.


이처럼 널리 쓰던 슬레이트는 1987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석면을 1급 발암 물질로 지정하고 정부도 규제에 나서면서 더 이상 쓰지 않게 됐다. 그러나 2010년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아직까지 전국에 슬레이트 건축물이 약 141만동 있고, 그중 51.7%인 73만동이 주로 농어촌의 주거용 건축물이다.


국민 건강 보호와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슬레이트 지붕 개량 사업을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 사업이 시작된 2011년부터 한국환경공단은 올해 8월까지 전국 17개 시·도와 함께 약 6만5000동의 슬레이트 지붕을 해체, 처리했다. 2021년까지 약 5000억원을 더 들여 19만동의 슬레이트를 처리할 계획이다.


안타까운 점은 슬레이트 철거, 처리 비용은 정부에서 지원하지만 일정 면적 이상의 철거, 지붕 개량은 수요자가 자비로 부담하게 돼 있어 슬레이트 지붕을 그대로 두는 포기자가 많다는 점이다. 정부 지원비는 2011년 가구당 228만원에서 2015년 336만원으로 계속 늘고 있지만, 포기율이 작년 기준 28%에 이른다.


올해부터는 지자체가 정부 지원금 잔액을 지붕 개량, 자부담 지원 등에 활용할 수 있으나 많은 지자체에서 슬레이트 철거에 치우쳐 애초 취지인 지붕 개량을 통한 주거 환경 개선에는 소홀하다.


폐슬레이트 처리 대책도 절실하다. 슬레이트 지붕재 면적은 총 1억6334㎡로 앞으로 10년간 폐슬레이트 발생량은 최소 150만t으로 예상된다. 현재 폐슬레이트는 모두 묻어버리기 때문에 전국 지정 폐기물 매립장 용량으로는 감당할 수 없다. 이에 권역별, 지역별로 전용 매립장을 설치, 운영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 등 준비 작업이 시급하다.


초가집에서 벗어나고자 너도나도 앞다퉈 슬레이트 지붕으로 개량했던 것이 어느덧 40년이 돼간다.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슬레이트가 하루빨리 우리 모두의 추억 속에서만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조선닷컴/환경공단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