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동긴데 왜 퇴직금이 두배나 차이날까
입사동기와 내 퇴직금이 두배 차이 나는 이유
본인이 퇴직연금에 가입돼 있다는 건 알아도,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는 잘 모르는 직장인이 많다. 당신의 퇴직연금은 DB(확정급여형)인가, DC(확정기여형)인가? 그 답을 모르겠다면 통합연금포털(100lifeplan.fss.or.kr)에 들어가서 먼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DB인지 DC인지를 알았다면, 다음에 할 일은 무엇일까. 퇴직연금 기사를 보면 퇴직연금 수익률에 대해서 이렇다 저렇다 하는 내용들이 많은데 과연 내 퇴직금은 잘 관리되고 있는 건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퇴직연금의 종류.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DB형 가입자라면 이를 특별히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회사가 알아서 퇴직연금을 운용해주고 관리하기 때문이다. DB형 가입자의 퇴직연금은 자신의 근속년수와 퇴직 직전 최근 3개월 평균임금에 따라 산출된다. 따라서 최대한 오래 근무하고 꾸준히 임금을 높이는 데만 집중하면 된다.
DC형 가입자라면 신경을 써야 한다. 회사가 매년 퇴직연금을 가입자 명의의 퇴직연금계좌로 지급하면, 본인이 이를 직접 운용하고 관리를 해야 되기 때문이다. 즉, 입사동기라 할지라도 운용 수익률의 차이에 따라 퇴직연금의 금액이 달라진다.
입사동기와 퇴직금이 두배 차이 나는 이유 ①
개인적으로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도 퇴직연금이라고 하면 무조건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투자를 먼저 고려한다. 노후를 위한 마지막 보루라고 생각하면 손실에 대한 두려움이 커질 수밖에 없어서다. 하지만 너무 안정적인 것에 치중해서 예금처럼 원금보장 상품 위주로 운용하면 수익률이 낮아진다. 이 경우 물가상승률을 고려한다면 실질 수익률은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다.
연금은 단기간이 아니라 퇴직시점까지 운용하기 때문에 투자기간이 길 수밖에 없다. 장기투자에서는 매년 발생하는 수익률 차이로 인한 복리효과 격차가 엄청 벌어질 수 있다. 퇴직연금의 수익률이 중요하고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다.
복리효과의 단순계산을 쉽게하기 위해서 72의 법칙을 알아두자. 자산이 2배로 불어나는 데에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계산하는 공식이다. 숫자 72를 단순히 수익률로 나누면 몇 년이 걸리는지가 나온다. 수익률 1%와 2%를 가정해 비교하면 당연히 원금이 2배되는데 걸리는 시간도 2배의 차이가 나게된다. 예를 들어, 2020년에 입사한 A(연 수익률 1%)와 B(연 수익률 2%)가 입사 첫해에 1000만원을 35년간 투자했다면 2055년 퇴직할 때 A는 2000만원, B는 4000만원이 된다.
원금의 두배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
수익률 같아도 퇴직금 차이가 나는 이유 ②
연금에서는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적정수준의 변동성 관리도 필요하다. 일정기간 수익률이 위(+) 아래(-)로 움직이는 걸 변동성이라고 한다. 이 변동성을 통제해서 투자하면 훨씬 더 편하게 퇴직연금을 관리할 수 있다.
아래 표에서 A와 B의 수익률의 단순 합계는 50%로 동일하다. 하지만 총누적수익인 복리수익률을 보면 A는 -68%, B는 +60%로 큰 차이가 난다. 변동성을 비교하면 A보다 B의 수익률 변동성이 훨씬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아래는 연평균 수익률이 5%로 같아도 변동성에 따라 투자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는 그래프다.
A, B, C, D 모두 연평균 수익률은 5%로 같지만 변동성이 A는 0%, B는 15%, C 25%, D 35%로 다르다.
이왕이면 수익률을 올려 퇴직연금액을 크게 늘리면 좋겠지만, 은퇴 자산 운용의 핵심은 안정성에 있다. 지나치게 안전만 생각해 원리금 보장상품으로만 투자하면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실질수익률에 손해를 보게 되고, 기대 수익을 올려 변동성 큰 곳에 투자하면 큰 위험에 노출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은퇴자산은 운영엔 균형이 필요하다. 일부는 원리금보장형 상품으로 보수적으로 운용하되 글로벌 분산투자를 함께 해 인플레이션에 대응해고, 변동성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필자의 견해는 미래에셋자산운용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