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100% 활용법] 60세 은퇴후에도 62세까지 연금 내면, 2년간 낸 돈의 2~3배 더 받는다

60세 은퇴후에도 62세까지 연금 내면, 2년간 낸 돈의 2~3배 더 받는다


[전국민 연금 시행 20년… 국민연금 100% 활용법]


연금공단에 '임의가입' 신청 가능, 겨우 3만~4만원 는다고 무시 말길

평균 수명까지 산다고 가정하면 2년간 낸 돈의 2~3배 더 받는 셈

부부합쳐 연금 年2000만원 넘으면 2022년부터 건보 피부양자 제외

이 경우, 연금 수령 늦추는게 유리


소득 없어 연금 보험료 안 냈어도 

수령 연령 전까지 모두 납부하면 연금생활자 될 수 있어


    국민연금이 '전 국민 연금 시대'를 연 지 올해로 20년이 됐다. 1988년 직장인부터 시작했던 국민연금은 1995년 농어촌 지역에 이어 1999년 도시 지역까지 확대되면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국민연금 제도가 본격 시행됐다. 현재 국민연금은 478만명이 한 해 20조원의 연금을 타고 있다. 전체 연금 수령자의 평균 연금액은 월 30만원대에 그쳐 '용돈 연금'이라는 푸념도 나온다. 하지만 20년 이상 연금에 가입하고 퇴직한 은퇴자들은 월평균 수령액 92만6716원으로 '연금의 맛'을 느낄 수준이 됐다. 국민연금의 100% 활용법을 알아본다.


60세 퇴직했어도 62세까지 보험료를 계속 내라

60세가 되면 의무 가입 연령이 끝나지만 현재 연금 타는 나이는 62세로 2년간의 공백기가 생긴다. 이 기간 동안 손 놓고 기다리지 말고, 오히려 연금액을 늘리는 기간으로 활용해야 한다. 연금공단에 '임의 계속 가입'을 신청, 1년이든 2년이든 보험료를 더 내서 가입 기간을 늘리는 게 낫다.


가령 1988년부터 가입해 월 100만4870원의 연금을 타게 된 A씨(60)의 경우 2년간 월 9만원(월소득 100만원 신고)씩 보험료를 추가로 내면 연금액이 월 3만4440원 늘어난다. 월 200만원(보험료 월 18만원)의 소득으로 신고하면 연금액이 월 4만8150원 증가한다. '한 달에 늘어난 돈이 겨우 3만, 4만여원밖에 안 되는데…'라고 무시하면 오산이다. 현재 62세는 평균 수명(남성 83.1세, 여성 87.5세)까지만 살아도 적어도 20년 넘게 연금을 타기 때문에 실제 낸 돈보다 2~3배를 더 받는 셈이다.


국민연금 100% 활용법 그래픽




또 100만원 소득을 신고한 사람은 200만원 신고한 사람보다 낸 돈에 비해 훨씬 많이 탄다. 보험료를 적게 내는 사람에게 더 큰 혜택을 주는 소득 재분배 효과 덕분이다. 그러면 소득을 높게 신고하는 것은 불리할까. 아니다. 최고 소득(현재 월 468만원)으로 신고해도 낸 돈보다 배 이상 타기 때문에 여유가 있다면 보험료를 많이 내는 것이 낫다. 다만 소득은 최저액인 월 100만원(보험료 월 9만원) 이상 신고해야 한다.


연금액 일부만 우선 타고 나머지는 받는 시기를 늦춰라

국민연금은 연금 타는 나이를 최대 5년간 늦출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연금 수령을 늦춘 데 대해 높은 이자율(연간 7.2%)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처럼 타는 시기만 연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연금액도 일부만 먼저 타고, 나머지 액수는 최대 5년 미룬 뒤 탈 수 있다. 즉 100만원이면 40만원만 우선 타고, 나머지 60만원은 5년까지 묵혔다가 탈 수 있다.


이런 '부분 연기 연금' 제도가 관심을 끄는 것은 국민연금액이 건강보험료 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가령 부부의 국민연금액을 합쳐 연간 3400만원을 넘게 되면 건강보험에서 피부양자(가족의 건강보험에 얹혀 건보료를 내지 않는다) 자격이 박탈된다. 앞으로 2022년에는 연금 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넘으면 피부양자에서 제외된다. 이렇게 되면 별도의 건보료를 내야 하는데 재산에 따른 보험료까지 합치면 만만찮은 금액이 된다. 이 때문에 맞벌이 부부로 연간 연금액이 2000만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부분 연기 연금제도를 이용해 연간 2000만원이 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되면 적어도 연금 소득에 한해서는 당분간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할 수 있거나 설령 피부양자에서 제외되더라도 연금 소득이 적어진 만큼 몇년간은 건강보험료 액수도 줄일 수 있다.




예전에 안 낸 보험료 내면 연금 생활자가 될 수 있다

회사에 다니다가 결혼해 전업주부가 되면 소득이 없으므로 국민연금에 더 이상 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그동안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년(최소 가입 기간)이 안 되면 노후에 연금을 받지 못하고 낸 돈에 이자를 붙인 일시금만 받게 된다. 이런 사람들을 위해 정부가 1999년 이후 국민연금에 한 번이라도 보험료를 낸 적이 있는 경우는 국민연금에 재가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지금껏 내지 않았던 보험료를 연금 타게 될 나이 직전까지만 내면 가입 기간을 모두 되살릴 수 있다. 김모(61)씨는 1999년 4월부터 13개월간만 국민연금에 가입한 뒤 소득이 없다고 연금보험료를 더 이상 내지 않았다. 그러다가 연금 탈 나이가 되기 직전에 월 100만원 소득으로 임의 가입했다. 그는 200개월치 보험료(1800만원)를 일시에 내고 작년 6월부터 매월 33만3000원씩 연금을 받고 있다. 이처럼 추후 납부할 때 한꺼번에 돈을 내면 그동안 안 낸 돈의 이자도 붙지 않는다. 한꺼번에 9011만원이라는 거금을 내고 월 80만9000원의 연금을 받게 될 은퇴자도 생겼다. 중요한 포인트는 안 낸 기간의 소득을 높게 신고, 보험료를 많이 낼수록 더 많은 연금액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소득을 얼마로 신고해 얼마의 보험료를 낼지는 본인이 선택할 수 있다.


이혼자들은 분할 연금 신청서와 함께 포기서를 써라

이혼하면 부부가 결혼생활에 해당하는 가입 기간분의 연금액에 대해 절반씩 나눠 갖는다(분할연금). 특히 맞벌이 이혼 부부들은 "더 이상 얽히고 싶지 않다"며 각자 연금만 탈 생각으로 분할연금 신청을 아예 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중도에 마음이 바뀌어도 분할연금을 신청할 수 없다. 이런 경우에 대비해 당장 분할연금을 받을 생각이 없더라도 연금공단에 가서 분할연금 신청서와 포기서를 함께 써서 제출하는 게 낫다. 나중에 마음이 바뀌어 연금 신청을 하려면 공단에 가서 철회서를 쓰면 되기 때문이다. 분할연금은 기본적으로 절반씩 나누는데, 당사자 간 합의가 있으면 분할 비율을 6:4 혹은 7:3 등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실제 연금액 전액을 전(前) 배우자에게 넘겨 주는 경우도 있다.




[재취업·사업소득 있으면 연금 최대 절반 깎여… 이럴땐 연금 수령 늦추는 것도 방법]


연금 수령 연령부터 5년간 깎여… 수령 늦추면 年7.2% 이자 붙여 지급

재취업해 연금액이 대폭 깎이는 것보다 아예 연금 타는 것을 연기하는 게 낫다. 연금 수령자들은 재취업·재고용으로 근로소득이 있거나 창업(사업)으로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일정액(세금공제 후 235만6670원) 이상을 벌면 연금액이 최대 절반까지 깎인다. 가령 월 130만원을 타는 연금 수령자가 재취업하거나 계속 고용돼 월 700만원(세금공제 후)을 벌고 있으면 깎이는 연금액이 월 66만원이나 된다. 연금액의 절반에 해당된다. 다만 이 같은 연금 감액은 평생은 아니고, 연금 수령 연령부터 5년간만 해당된다. 가령 현재 연금 수령 연령은 62세이므로 67세까지 적용된다.


 

분할 연금 신청할 경우 정리 표


이처럼 연금 타면서도 노후에 일해 버는 소득 때문에 연금액이 깎이는 경우가 매년 늘고 있는 추세다. 2016년 3만5594명에서 2017년 6만474명, 작년에는 7만명가량으로 연금공단은 추정하고 있다.




노후에 일하더라도 연금공단의 소득 인정액 기준점인 월 235만6670원(세금공제 전 328만2510원)보다 적게 벌면 연금도 함께 탈 수 있어 노후 소득 보장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세금 공제 후 소득이 235만여원보다 100만원이 더 많은 336만원 미만이면 최대 5만원, 436만원 미만이면 5만~15만원 깎는다. 소득이 636만원 미만이면 50만원 넘게 깎는다. 이럴 경우 아예 연금 수령을 늦추는 방식을 택하는 게 유리하다. 연금 수령을 늦추면 연 7.2% 이자를 붙여 지급한다. 월 100만원 연금을 타는 경우, 5년 묵히면 150만원 가까이 타게 된다.


이 같은 연금 삭감 때문에 "늙어서는 일하지 말라고 정부가 부추기는 것이냐"는 비판이 쏟아지지만, 일각에서는 "소득이 있는데 연금까지 타면 과도한 소득"이라는 입장이다. 일본도 이처럼 연금 수령 중에 소득이 있으면 연금을 깎고 있으나, 최근에는 노후 소득 보장 강화를 위해 이 제도의 폐지를 추진 중이다. 반면 우리 정부는 연금 재정 악화를 이유로 장기 개선 과제로 넘긴 상태다.

김동섭 보건복지전문기자 조선일보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27/2019092700002.html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