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형태화, 그 다름의 존중 [안진의]


생각의 형태화, 그 다름의 존중 [안진의]




www.freecolumn.co.kr

생각의 형태화, 그 다름의 존중

2018.09.21


(정영권, 종이에 연필, 2017)

린 그림은 어쩌면 우리가 바라보는 세상이 이런 한쪽의 쏠림만은 아니었을까 생각해보게도 합니다.

화가들은 시각 이미지를 통해 생각을 형태화합니다. 이 때 발휘되는 독창성은 작품의 중요한 평가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발상하고 표현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저마다 개성 있는 시각 이미지를 만들어내려 고심합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화폭에서는 자유롭고 특이해야하지만 일상에서는 평범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입니다.

닉 수재니스의 <언플래트닝(unflattening) 생각의 형태>는 컬럼비아 대학 최초의 만화로 된 철학 박사 논문을 책으로 출판한 것입니다. 문자에 의한 설명보다 시각적 이미지가 인식을 보다 넓게 확장시켜 주고 있으며, 영감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책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인류의 풍경을 매우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패쇄된 틀 속의 인간 군상으로 그려냅니다. 그래서 이 사회를 “숨 막힐 듯 경직된 채 ‘단조로움(flatness)’으로 가득 찬 풍경”이라고 말합니다.

머릿속에 새겨진 수많은 틀은 내재화되며, 스스로 보지도 못하고, 보이지도 않는 동떨어진 힘에 의해 자신의 가치를 평가받는다고 합니다. 역동적인 존재로서 인간의 잠재적 에너지는 감소되고 그 활기를 완전히 잃었으며, 대신 단조로움만 덩그라니 남았다고 합니다. 흑백으로 그려진 만화 속 무표정하게 획일화된 인간의 모습은 결국 텅 빈 공백처럼 컴컴한 어둠으로 사라집니다. 닉 수재니스 역시 낯설게 보고 다르게 생각해야 새로운 세계로 나아갈 수 있음을 말합니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자주 듣던 속담입니다. 여기에는 사회적 존재에 대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정을 때리는 주체는 내가 아닌 타인입니다. 말과 행동이 모가 나면 미움을 받는다는 의미도 있지만 타인과 무던히 어울리기 위해 튀지 말아야 함을 말하며, 이때의 기준은 타인에 의한 것입니다. 결국 타인의 시각에 의해 자아는 일반화된 타자가 되어가는 것입니다.

세상이 모두 둥근 돌만으로 이루어지고 모두 비슷한 생각만 하고 있다면 어떨까요. 이상화된 사회일까요? 닉 재니우스의 말대로 단조로운 풍경 속, 내재된 틀이 우리를 결박하고 있을 것입니다. 예술작품에서만 다양한 생각의 개성 있는 형태화를 찾을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에서도 각자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해주면 더 좋지 않을까요?

성격, 외모뿐 아니라 가치관, 이데올로기도 다를 수 있습니다. 개인의 고유성을 존중하면서 공동체적 가치도 중시한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겁니다. 그런데 우리는 때로 지나칠 만큼 타인의 삶을 자신의 삶의 방식으로 규정하고 그 틀에 맞추어 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보지 못하고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여 머뭇거립니다.

세상에 같은 사람이 없듯 생각도 다를 것이고 표현도 다를 것입니다. 그 다름을 존중하며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받아들일 수 있길 바랍니다. 다름이 위협이 아니라면,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아 다소 불편하더라도 꺼리지 않길 바랍니다. 열린 사고와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다양한 생각의 형태화가 삶을 얼마나 다채롭고 풍요롭게 만드는지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칼럼은 필자 개인의 의견입니다. 
자유칼럼그룹은 특정한 주의나 입장을 표방하지 않습니다.

필자소개

안진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교수. 삶의 중심은 그림이지만 그림과 함께 일상을 풀어내는 방법은 글이다. 꽃을 생명의 미학 그 자체로 보며 최근에는 ‘꽃과 문명’이라는 화두를 붙잡고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저서 <당신의 오늘은 무슨색 입니까>

Copyright ⓒ 2006 자유칼럼그룹.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freecolumn.co.k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