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으로 '사우디 스마트 원자로 건설 사업' 참여 무산 가능성 높아져
탈원전으로 '사우디 스마트 원자로 건설 사업' 참여 무산 가능성 높아져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는 공생해야
"왜 어느 한쪽만 선택하려할까?"
사우디 '스마트원자로' 지지부진
국내에서 우선 건설해야 수출 길 열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국내 업체들이 사우디의 스마트 원자로 건설 사업 참여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자칫 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는 어느 하나의 선택 보다는 ‘공생관계’가 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우리나라 에너지전환정책과 원자력의 미래’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사진=양세훈 기자)
한국원자력문화진흥원과 원자력살리기국민연대가 12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한 ‘제13회 원자력문화진흥 워크숍’에서 김두일 스마트파워(주) 대표는 “원전건설을 하지않기로 한 한국이 과연 원전을 수출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 문을 열었다. 이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원자로 건설사업마저 현재까지 아무 것도 결정 된 것이 없다”고 전했다. 이 회사는 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소형 원전인 스마트 원자로의 상용화 및 건설·수출을 전담하고 있다.
300MW 이하의 소형 원자로인 스마트 원자로는 막대한 초기 투자자금과 계획부터 상업운전까지 10~15년이 소요되는 기존 대형 원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과 짧은 건설기간, 높은 안전성을 갖추고 있다. 앞서 한국과 사우디는 지난 2015년 3월 스마트 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했으며 사우디는 18개월 내 스마트 1·2호기를 발주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김 대표는 사우디의 스마트원자로 건설 사업이 △사우디 내 부지 미확정, 인허가 조직 및 절차 미정 △인허가 불확실성 △원자료설비 공급업체 미확정 등으로 현재까지 진전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김 대표는 “스마트원자로를 사우디 등에 수출하려면 국내에서 우선 건설해야 수출 길이 열린다”고 주장했다. 국내에서 성과물을 보여주어야 사우디 수출 길도 열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정부 탈 원전 정책에 대한 보완의 목소리가 높았다. 박기철 PNG 회장은 “화석연료 고갈과 기후변화, 원자력 안전성 및 에너지수급문제를 고려해 지금은 원전과 신재생 에너지의 균형 동반 발전을 모색할 때”라고 강조했다. 원자력과 재생에너지가 상호 보완의 공생관계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황해룡 한국전력기술 처장 역시 미국 MIT 보고서를 인용해 “풍력과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있는 태양광, 그 외 탄소배출이 거의 없는 원자력, 그리고 지열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탄소수집장치가 있는 천연가스 조합이 가장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저탄소 에너지믹스”라고 강조했다. 김학노 전 원자력학회 회장은 “원자력기술은 국민에게 행복을 안겨주는 기술”이라며 “합리적인 에너지정책이 나올 때까지 원자력업계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양세훈 기자 twonews@viva100.com 조선일보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