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구 캠프페이지 시민복합공원으로 재탄생
춘천 구 캠프페이지 시민복합공원으로 재탄생
시 올해 해당 부지 문화공원 도시계획 시설 지정
사업비 1,570억원 … 녹지 80% 공원내 시설 20%
도청·법원 등 공공기관 이전·신축 모두 무산
구 캠프페이지가 대규모 녹지와 문화예술·남북교류 공간이 어우러진 시민복합공원으로 재탄생한다. 도청, 법원 등 공공기관의 이전·신축은 모두 무산됐다.
시민복합공원이 들어설 구 캠프케이지/연합뉴스
춘천시 '허허벌판' 캠프페이지 활용 매듭…80% 녹지공원 조성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80822111700062&site=0800000000
edited by kcontents
이재수 춘천시장은 22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시민복합공원 세부조성계획을 설명했다. 이 시장은 “구 캠프페이지는 계획대로 문화복합공원으로 조성하되 남북교류 협력을 위한 북방경제 플랫폼을 더해 추진하겠다”며 “창작종합센터와 역사문화센터를 하나의 구역으로 모으고 시민 상상콘테스트 등을 통해 발굴된 다양한 아이디어를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구 캠프페이지를 둘러싼 논란의 장기화를 막자는 차원에서 서둘러 세부계획을 발표하게 됐다. 도시 재생사업 뿐만아니라 도심 공동화를 최소화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접근하겠다”고 강조했다.
약 54만㎡로 규모로 조성되는 시민복합공원은 80%가 녹지로 채워진다. 춘천시는 미세먼지저감 도시숲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내년부터 국비를 지원받아 나무 심기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창작종합지원센터는 부지의 왼쪽에 들어선다. 미디어 아트갤러리 및 다문화체험마당, 예술인공방 등도 센터 주변에 짓는다.
기존 봄내체육관 등은 현행대로 활용할 방침이다.
구 캠프케이지 시민복합공원 계획도/연합
edited by kcontents
공원 내 시설 비중은 20%로 정했다. 최대 30%까지 시설을 지을 수 있지만 나머지 10%는 향후 시민 요구에 따라 채울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총 사업비는 1,570억원이다. 시는 올해 안에 춘천시 도시계획자문 및 강원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해당 부지를 문화공원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할 방침이다.
공원 내에는 각종 업무시설이 들어설 수 없는 만큼 그동안 불거졌던 각종 공공기관의 청사 이전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구 캠프페이지는 도 신청사와 컨벤션센터가 함께 들어설 부지 후보로 거론됐었다. 앞서 춘천지법과 춘천지검도 해당 부지로의 청사 이전을 시에 요청했으나 시는 `불가" 입장을 밝혔다.
이 시장은 “춘천시가 각 기관의 이전 요구를 거부했다기보다는 (공원이기 때문에) 해당 부지에 업무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다만 장기적으로 새로운 요구가 있다면 제척부지를 만들어 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선영 기자 강원일보(춘천)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