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가구 중 1가구가 키우는 반려동물, 세균 감염 유의해야


4가구 중 1가구가 키우는 반려동물, 세균 감염 유의해야


35~45%가 피부·​호흡기 알레르기 증상​


물리거나 단순히 핥는 것으로도 패혈증 위험 증가

면역력 약한 사람이나 아이 특히 조심해야


  4가구 중 1가구가 키우는 반려동물은 1000만 마리로 추정된다. 


그만큼 반려동물로 인한 안전사고 및 피부, 호흡기알레르기, 바이러스 감염질환도 증가하는 추세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개에 물리는 등의 안전사고로 병원에 이송된 환자는 2016년 2111명에서 2017년 2405명으로 한 해 사이 13.9% 증가했다. 사람이 개나 고양이에게 물리면 광견병이나 파상풍 등 세균,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 또한 크다.


정진원 중앙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사람이 개나 고양이 등에게 물리면 광견병이나 파상풍 등 감염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상처 부위가 작더라도 반려동물의 이빨에 있는 세균으로 인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상처에 다른 세균이 추가로 감염되는 '2차 감염'의 발생 우려도 있으므로 방심해서는 안 된다”며 “애완용 개와 고양이에게 반드시 광견병 백신을 접종하고, 밖에 데리고 나갈 경우 애완동물이 야생동물과 싸우거나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DogViews247



개가 핥기만 했을 뿐인데 사지 절단…원인은 침 속 세균 A Wisconsin man had to have his hands and legs amputated because of a bacterial infection he got after being licked by a dog

http://conpaper.tistory.com/69254

edited by kcontents


광견병은 리사바이러스에 속하는 광견병바이러스가 체내로 침입해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집에서 키우는 개는 대개 바이러스에 감염된 야생동물과 접촉해 감염된 후 다시 사람을 물어 바이러스를 옮긴다. 상처를 통해 동물의 타액 속 바이러스가 사람 몸 안으로 침입해 불안감, 발열, 두통, 권태감, 구토, 물린 부위의 감각 이상 등의 증상을 보인다. 이를 방치하면 2~6일 이내에 경련과 혼수상태 등에 이르며, 숨을 쉬는 근육이 마비돼 무호흡이나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 중 35~45%가 피부·​호흡기 알레르기 증상​

개의 26%가량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세균성 병원균(캡노사이토파가 캐니모수스)은 일반적으로 개나 고양이에게 물려서 감염되지만, 때로는 단순히 긁히거나 핥는 것만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나 아이, 만성질환자들은 반려동물이 지닌 세균에 더욱 취약하므로 반려동물과의 뽀뽀가 위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캡노사이토파가 캐니모수스 균이 반려동물의 침을 통해 사람에게 옮겨지면, 패혈증과 같은 치명적인 전염병 감염과 장기 기능 부전을 일으켜 심하면 사망에 이른다. 


패혈증은 미생물에 감염되어 발열, 빠른 맥박, 호흡수 증가, 백혈구 수 증가 또는 감소 등이 전신에 걸쳐 일어나는 염증 반응이다. 초기에는 발열, 기침, 무기력 등의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하지만 신속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신체 장기 기능의 장애나 쇼크 등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사망률이 매우 높다. 정 교수는 “개나 고양이의 입속에는 침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세균이 많이 있기 때문에 지나친 접촉은 피해야 한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어린이, 입 안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감염될 위험이 크므로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반려동물로 인해 사람에게 가장 많이 생길 수 있는 질환은 피부·호흡기 알레르기질환이다. 반려동물의 비듬이나 침, 소변 등의 알레르기 항원이 사람의 인체에 들어와 재채기, 기침, 콧물, 피부 가려움, 두드러기 등의 증상을 보인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 중 35~45%가 피부·​호흡기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재우 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천식, 비염, 아토피가 있는 사람 중 반려동물 접촉으로 인해 증상이 나빠진다. 동물털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도 있다"며 "반려동물을 접촉한 후 기도가 좁아지고 경련, 발작이 일어나면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병원에서 환자의 증상이 반려동물 때문인지 알아보고 반려동물로 인한 증상이라면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것이 좋다. 정 교수는 "부득이 반려동물을 키우고자 한다면 적극적인 약물치료와 함께 해당 반려동물로 인한 알레르기 항원을 몸에 조금씩 주입하는 면역치료요법을 시행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 수는 약 593만 가구로 추정된다. 전체 가구의 28.1%로 2012년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중 개를 기르는 가구는 24.1%, 고양이는 6.3%, 그 외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1.4%다.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no@sisajournal.com 시사저널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