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북 인프라 건설이 현실화 된다면 누가 시공할까?


만일 북 인프라 건설이 현실화 된다면 누가 시공할까?


시공능력평가 순

삼성물산, GS건설, SK건설, 대우건설, 현대건설, 대림산업 총 6곳

5년 간(2011~2016년) 철도·지하철 부문 시공액 10위권 유지


    '판문점선언'에서 남북 동해선·경의선 철도 및 도로의 연결이 거론되면서 각 부문 시공경험이 풍부한 건설사들에 관심이 모아진다.


6일 국토교통부의 종합건설업 시공능력평가에 따르면 지난 5년 간(2011~2016년) 철도·지하철 부문 시공액이 항상 10위권에 들었던 건설사는 삼성물산, GS건설, SK건설, 대우건설, 현대건설, 대림산업 총 6곳으로 나타났다. 


뉴스웍스

edited by kcontents


이중 5년간 누적실적이 가장 많은 곳은 삼성물산으로 총 시공액이 9조2120억원이었다. 이어 GS건설(2조5493억원), SK건설(1조9085억원), 대우건설(1조8858억원), 현대건설(1조6402억원), 대림산업(1조4812억원) 순으로 실적이 좋았다.


남북을 잇는 주요철도는 경의선, 동해선, 경원선 3개다. 모두 대형건설사 컨소시엄이 복원했거나, 복원이 진행 중이다. 서울~신의주를 잇는 경의선은 2003년 6월 경기 파주시 문산역에서 개성에 이르는 노선이 복원됐다. 남측 구간 시공사는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한동건설 △세양건설 △구산건설로 이뤄진 컨소시엄이었다.




당시 건설교통부는 공사의 안정성을 위해 도급순위 1~3위를 차지하고 있던 대형 3사를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과 수의계약을 맺었다. 3사 참여지분은 76%였고, 각 사가 추천한 중소기업이 합류했다.


동해선은 2005년 12월 남측 제진과 북측 금강산이 연결됐다.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현대아산이 시공에 참여했다. 향후 복원이 필요한 구간은 강릉역에서 제진역을 잇는 노선이다. 


경원선은 백마고지역~월정리~평강으로 이어지는 26.5km의 남북 구간이 끊겨 있다. 정부는 2015년 백마고지~월정리까지 군사분계선 이남 노선을 복원하고 기공식까지 가졌지만 2016년 5월 예산초과로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시공사는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포스코건설 △대림산업 △현대아산이 선정됐다. 


판문점 선언에선 동해선과 경의선이 언급됐지만 사업진행이 가장 빠를 것으로 전망되는 곳은 경원선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초 해당 노선 사업비가 증액됐고 올해 상반기 중 토지매입 및 설계가 완료돼 공사가 재개될 예정이다.


3개 철도는 모두 설계와 시공을 동시에 진행하는 '패스트 트랙'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빠른 시공을 위해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공사경험이 중요했다. 


자료=국토교통부


남북도로 연결도 철도와 비슷한 방식을 따를 것으로 보인다. 현재 GS건설 컨소시엄이 2020년 준공을 목표로 서울과 경기 파주시 문산읍을 잇는 고속도로를 건설하고 있다. 문산-개성 고속도로 건설계획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지난 5년 간 도로부문 시공액 순위가 10위권 내를 유지한 건설사는 총 8곳이다. 현대건설(4조9034억원), 삼성물산(3조707억원), 대우건설(2조9718억원), 대림산업(2조6184억원), 포스코건설(2조5016억원), GS건설(1조8165억원), 롯데건설(1조8085억원), SK건설(1조6302억원) 등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의계약이라 해도 사실상 실적이 판가름 한다"며 "발주처 입장에서도 경험이 있는 곳에 맡기는 것이 안심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치현 기자 머니투데이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