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년 섬' 제주 비양도, 에너지 자립 섬으로 변신한다


'천 년 섬' 제주 비양도, 에너지 자립 섬으로 변신한다


태양광·풍력발전 활용


   '천 년 섬'으로 알려진 제주 비양도가 태양광·풍력발전을 활용하는 '에너지 자립 섬'이 될 전망이다.


`천년 섬'으로 알려진 비양도/ VISIT JEJU

edited by kcontents


제주도는 제주시 한림읍 비양도에 100㎾ 규모 태양광발전설비와 10㎾ 규모 풍력발전 2기, 1천㎾h 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치했다고 18일 밝혔다.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이 시행한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공모사업에 선정돼 추진한 이번 사업은 디젤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사업이다. 2015년 2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국비 9억5천800만원과 도비 14억700만원 등 총 23억6천500만원이 투입됐다

 

비양도 주민 92가구는 현재 240㎾ 규모 디젤발전기 1기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이용하고 있다. 올해부턴 연간 신재생에너지 163㎿h를 공급받아 디젤발전의 54%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젤발전기에 사용하던 연료 6만1천300ℓ를 절감할 수 있다. 연료비가 연간 4천950만원 줄어든다. 그뿐만 아니라 디젤연료를 땔 때 발생하던 이산화탄소가 연간 72t이나 감소한다.


도는 내달까지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설치 확인을 받고, 한전에서 운영 중인 디젤발전과의 전력계통 연계를 마무리해서 4월부터 본격적으로 태양광·풍력발전설비를 가동할 예정이다.


위치도/구글맵

edited by kcontents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고 태양광·풍력발전 설비를 계속 증설해 신재생에너지의 대체율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비양도는 협재해수욕장에서 북쪽으로 1.8㎞ 떨어진 곳에 있는 둘레 3.5㎞, 면적 0.59㎢의 작은 원형의 섬이다. 섬 한가운데 해발 114.1m의 비양봉이 솟아 있고, 정상에는 '비양나무'가 자란다. 해안가에는 '애기업은돌'과 '코끼리바위' 등 기암괴석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중국에서 날아왔다는 전설을 간직한 비양도는 `고려 목종 5년(1002년) 6월 산이 바다에서 솟았고 붉은 물을 5일 이상 분출했다'는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라 2002년부터 '천 년의 섬'으로 불리고 있다.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khc@yna.co.kr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