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반도체업계는 갸우뚱
정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반도체업계는 갸우뚱
실효성에 의문 제기
24시간 가동 사업 특성
신재생에너지 생산라인에는 사용 못해
전량 한전 구매 사용
정부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골자로 하는 전력수급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반도체업계는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공장 항공사진 <사진=삼성전자>
edited by kcontents
15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전기를 한전으로부터 전량 구매해 사용한다. 일부 사업장에 소형 발전기가 있으나 이는 '비상용'이다.
삼성전자는 "사업장 내 가로등과 교통시설, 식당 등 지원시설 일부는 태양광 패널 등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생산시설에는 사용하지 않고 한전에서 전량 구매한다"고 설명했다.
반도체업계가 신재생에너지를 생산시설에 도입하지 않는 이유는 24시간 가동해야 하는 사업 특성상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공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태양광의 경우 밤에는 발전을 할 수 없고, 풍력은 설치장소가 제한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실제 올해 전체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6.2%에 불과하다. 정부는 태양광과 풍력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릴 계획이다.
현재 반도체업계는 사상 최대 호황을 맞아 전력 사용량이 늘고 있다. 정부가 집계한 올해 3분기 산업용 전력소비량은 733억㎾h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 증가했다.
이는 2013년 4분기(5.5%)이후 15분기만에 최대 증가율이다. 반도체업종 증가율이 8.3%로 가장 높았다. 반도체가 산업용 전력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4%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30년 20%까지 늘리고 원자력은 30.3%에서 23.9%로, 석탄은 45.3%에서 36.1%로 각각 줄인다는 방침이다. 현재 24기인 원전은 2030년까지 18기로 줄어들다.
반도체업계는 신재생에너지, 석탄, 원자력 등 에너지원 비중이 어떻게 변하든 사업장에서 한전으로부터 전기를 지금처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만 있으면 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정부 전력통계정보시스템 상 풍력과 태양광의 '정산단가'는 원자력에 비해 33~35% 높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산업용 전기요금 제도를 개편할 계획도 갖고 있다.
산업용 요금제를 경부하 요금 중심으로 차등 조정한다는 것이다. 정부와 여당은 그동안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SK하이닉스 이천공장 <사진=SK하이닉스>
산업용 전력은 계약규모 300㎾ 이상이면 시간대별 차등요금을 적용하는데 값싼 요금대인 경부하 시간은 밤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로 일반 시간대에 비해 34.4~46.2% 정도 저렴하다.
이 구간 요금이 오르면 24시간 가동하는 반도체산업은 직격탄을 맞는다. 설상가상 현재 반도체업계는 추가 증설을 진행 중이다. SK하이닉스가 청주에, 삼성전자가 평택과 화성에 신규 생산라인을 놓는 중이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에너지 규제 가시화로 제품 생산에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반도체기업들의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며 "생산설비를 고효율 장비로 교체해 에너지 비용을 줄여나가는 게 앞으로의 과제"라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신규 제조시설 도입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에 대비해 사업장별로 에너지 절감활동과 감축과제를 발굴해 연간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매월 이행현황을 관리한다.
SK하이닉스도 전사 차원의 에너지 절감 TF를 운영해 에너지 관리 목표와 실적을 경영진에 보고하고 있다. 이천공장의 경우 지난해 TF를 중심으로 제조, 설비, R&D 등 전영역에 걸쳐 총 374개의 개선을 수행, 에너지 비용 117억원을 절감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