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해외진출 ‘좁은 문’…“새 모델 만들어야”


철도 해외진출 ‘좁은 문’…“새 모델 만들어야”


해외 철도시장 250조원 규모…국내 시장 25배 수준

민간 단독 진출 한계…민관 통합 진출 모델 만들어야


  국내 철도 업계의 해외 진출 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사업 수주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민간 기업에 열린 문은 좁아, 이들의 진출을 보조할 사업 모델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방글라데시  Dhaka-Chittagong high-speed rail link 

source observerbd.com


관련기사

철도공단, 방글라데시 고속철도사업에 첫발 

Dhaka-Chittagong high-speed rail link likely by 2022

http://conpaper.tistory.com/60359

edited by kcontents


국내 철도 시장은 기간교통망이 일정 수준 구축되고, 신규 사업이 줄어들면서 포화상태로 접어들었다. 이 때문에 업계는 2015년 기준 시장 규모가 국내 내수시장의 25배에 달하는 250조원 규모의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아세안·중동 지역의 경우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며 시장 규모는 더 커질 것 예상돼, 장차 철도 업계의 미래 먹거리로 자리잡을 것이란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선 정부 주도로 이뤄지는 기존의 사업 모델로는 해외 시장 진출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현재 각 부처, 기관들이 토목·설계감리·시공 등 개별 분야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는 것은 컨설팅 사업을 기반으로 시공에까지 사업을 연계하겠다던 의미인데, 사업 성과가 적어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해 해외 시장 진출의 벤치마킹 모델로 일본 사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은 정부와 민간이 역할을 분담해 해외 철도 사업 수주율을 높여가고 있다. 일본국제협력기구(자이카)가 재원을 조달하고, 정부가 정치·외교적 역량을 활용해 물밑 교섭을 펼치면 민간 기업들이 이를 바탕으로 발주국에 진출한다.




특히 단일 사업뿐만 아니라 제2, 제3의 사업 수주를 목표로 자국 철도 시스템을 우선 구축한다는 게 특징이다. 발주국 입장에선 당장에 부족한 재원을 수주국이 지원해주니 사업 추진을 망설일 필요가 없다. 또 수주국 입장에서도 일단 자국 시스템을 깔아두면, 향후 시스템 연계를 위해 추가 사업자 선정 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같은 민관 협력 통합 진출 모델을 국내에서 도입하려는 시도도 있다. 최근 공단이 국내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꾸려 수주한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경전철 첫 구간 사업이 대표적이다.


한국컨소시엄은 철도시설공단이 총 사업관리를 비롯해 신호(대아티아이), 전력(삼진일렉스), 검수(우진산전), 스크린도어(LG CNS) 등이 시스템 분야를 총괄해 맡았다. 특히 공단은 정부 기관으로서 인도네시아 정부와의 교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사업 수주를 이끈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수주가 더 뜻 깊은 것은 기존의 사업들과 달리 철도 전 분야의 기술·제품을 통합해 공급한다는 점이다. 1000억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컨소시엄 참여자들이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단일 사업과는 수익률에서 큰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업계에선 이번 사업에서 구축된 모델을 향후 해외 시장 진출의 토대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단순히 개별 컨설팅 사업에만 집중하기보다는 민·관이 철도 전 분야를 통합해 진출해야만 실질적인 해외 진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얘기다.




해외 진출을 타진 중인 한 기업의 관계자는 “현재 업계에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해외 진출이 불가능하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가 가득하다”며 “국내 철도 시장이 사양길에 접어든 가운데 정부가 국내 철도 업계의 활성화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고민하고 해결책을 내놓아야 할 시점이 됐다”고 귀띔했다.

김광국 기자 kimgg@electimes.com  전기신문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