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과 투자자의 자세

  

금리인상과 투자자의 자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하루 앞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매우 높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시장 전문가들은 한은이 이번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입을 모은다. 시장금리는 이미 이를 선반영해 큰 폭으로 상승한 상태다. 즉 금리인상이 실제로 이뤄진다고 해도 채권시장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의미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0월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 / 연합뉴스·조선일보DB


변화를 미리 반영한 시장은 별 타격을 받지 않는다고 해도 국민경제는 다를 수 있다. 가계빚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가계는 2000년대 초반까지 소득의 10~20%를 이자수입으로 벌어들였다. 그러나 이후 이자수입이 급격히 줄어들더니 지난해부터는 이자수입보다 이자지급이 더 많아졌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채권 발행과 금융기관 차입금을 보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비(非)금융 기업이 1596조원을 빌렸고 가계는 1519조원을 빌렸다”며 “그런데 이자지급액은 기업보다 가계가 더 많다”고 분석했다. 가계가 빌린 돈이 더 장기이고 제2금융권 차입 비중도 높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금리인상 효과는 기업의 이자지급 부담을 늘려 경기 과열을 막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가계의 이자지급 부담이 함께 커진 상황에서는 금리인상이 자칫 신용불량자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100bp(1bp=0.01%포인트) 인상될 때 이자 금액은 9조2000억원 증가한다.


이런 현실은 주식시장에도 직간접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올해 들어 국내 증시가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현재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신용거래융자 잔고금액은 10조원 수준에 달한다. 상승장에 뛰어들고 싶은데 자금이 부족한 이들이 돈을 빌려 투자에 나선 규모가 10조원에 육박한다는 의미다.


기업 가치를 고려한 종목 선별, 리스크 관리를 위한 분산투자 등 기본 원칙을 잘 지킨다면 주식투자를 위해 빚을 내도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지금처럼 가계부채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는 투자자의 냉철한 판단력이 흐려질 수 있다.


앞으로도 한은은 점진적인 금리인상에 무게중심을 둘 것이다. 자신의 상환능력을 냉정히 되돌아보고 리스크 관리에 더 집중하는 투자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29/2017112900495.html#csidx31ce559d0101b2dafb476e1d1e31293 

케이콘텐츠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