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원자력 발전 활성화 "안전성 높이는 것"
중국, 원자력 발전 활성화 "안전성 높이는 것"
다양한 정책 펼쳐
"신재생 에너지 크게 걱정하지 않아"
서울 기후-에너지 국제컨퍼런스
“중국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통해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원자력 발전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24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서울 기후-에너지 국제컨퍼런스에서 본회의2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폴 트롱톤 에너낙 전무이사, 토마스 레만 주한 덴마크대사관 대사, 쩌우 펑치 전 중국 국가발전
개혁위원회 에너지연구소 총장, 한화 큐셀 코리아 대표, 황준호 경희대학교 부총장, 데이비드 벡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UC San Diego) 교수,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정책관,
알리 이자디 나자파바디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 일본-한국대표.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edited by kcontents
쩌우 펑치 전(前)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에너지연구소 총장은 24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제4회 서울 기후-에너지 국제 컨퍼런스(Seoul Climate-Energy Conference) 본회의2에서 “원자력 발전활성화 계획은 전략적인 국가 차원의 정책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본회의2는 ‘에너지 대전환에 대한 탐색’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쩌우 전 총장은 “물론 신재생 에너지가 기존의 화석 연료 기반의 발전방법과 융합이 잘 안된다는 문제나, 신재생 에너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논의가 필요하지만 중국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하고 있지 않다”며 “중국은 이미 10년 전부터 풍력과 태양광 위주로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추진하고 있고, 현재 중국에서 나오는 신재생 에너지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기 발전 과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이어가고 있으며, 2020년까지는 천연가스를 활용하는 등 저탄소 발전 비중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쩌우 전 총장은 “원자력 발전의 경우 안전성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논쟁이 많지만 어느 정도 수준의 안전성이 허용할 만한 수준인지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며 “중국은 일부 유럽국가들처럼 원자력 발전소를 완전히 폐쇄하거나 수를 줄이는 대신 안전성을 높이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이를 위해서는 안전성 표준을 정하는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원자력 발전의 앞날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토론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각국의 정부가 내세운 에너지 전환 정책 내용이 부실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본회의2 패널로 참여한 황주호 경희대학교 부총장은 “한국의 경우 정부가 진행하는 에너지 전환 정책이 조금 급해 보인다”며 “정부가 목표로 하는 탄소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얼마만큼’ 외에도 ‘어떻게’를 설명하는 자료를 충분히 제공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보다 완성적인 기후변화 대책을 위해서는 석탄화력 분야 전문가들을 대책 마련에 동참시켜 탄소저감시설(CCS)이 이산화탄소를 어느 정도나 절감할 수 있는지도 들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황 부총장은 석탄화력발전 대비 원자력 발전이 가지는 경제성과 환경성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1978년부터 2015년까지 원자력을 이용해 약 3조키로와트시(㎾h)를 발전해왔다. 석탄화력으로 이 정도를 발전했다면 약 27억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돼 30만여명의 생명을 위협했을 것”이라며 “정부는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하는 것 외에도 원자력 분산 발전 등 여러가지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전력수요반응 시장 1위 기업 에너낙의 폴 트롱톤 전무이사는 기존 발전소들을 폐쇄하기 전에 이들이 제공하는 예비력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롱톤 전무이사는 “수요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주파수조정(AGC)은 풍력발전소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는 구하기 어렵다"며 “전통적인 발전시설에서 벗어나기 이전에 대체 시설을 마련해야한다”고 말했다.
조현수 한화큐셀코리아 대표는 정부가 신재생 에너지를 확대하는 방안을 발표할 때도 제한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조 대표는 “한국 정부는 최근 ‘신재생 에너지 3020’를 통해 연도별 발전 용량 목표를 설정했다. 하지만 2020년까지 향후 3년간은 연간 2기가와트로 한정돼 있다”며 “자연스럽고 점진적으로 발전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목표를 더 높게 설정해야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빅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고 캠퍼스(UC San Diego) 교수는 리더십을 강조했다. 빅터 교수는 “진정한 탈(脫)탄소를 원한다면 ‘어떻게 하겠다’는 말보다는 데이터로 증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덴마크 등 재생에너지 발전의 선두주자들이 후발주자들을 이끌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토마스 레만 주한 덴마크대사관 대사는 “덴마크는 재생에너지 발전에 수십년간 주력하고 있다. 2030년까지는 현존하는 석탄화력 발전소를 모두 폐쇄하고, 2050년까지는 재생에너지로만 발전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며 “이를 위해 다른 나라와의 협업을 중요시하고 있다. 한국과도 녹색성장 협력을 맺고 가격효율적이고 비용효율적인 신기술에는 무엇이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24/2017112401821.html#csidx608c2033d8dcb5f8b1594ae2de70084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