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공간정보(드론 분야)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공간정보(드론 분야)


김태훈 공간정보산업협회 공간정보기술연구원/교육개발팀 

공학박사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산업분야이며 산업 및 상업적 활용도 또한 가시화되고 있는 신산업이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도 4차 산업혁명을 대응하기 위한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8월에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100대 국정과제에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서 드론분야가 선정되었다.


출처 뉴스1

edited by kcontents


향후 미래 먹거리 산업에 선정된 드론산업은 기존에 군사적 용도로만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레저용 외에도 항공촬영, 3차원 모델링, 구조·탐사, 농업, 정보통신, 택배 등으로 상용화 되면서 민간용 드론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 전문 컨설팅 그룹(Teal Group)이 지난 5월 Kay Bailey Hutchison 컨벤션 센터에서 발표한 드론 산업(군용 및 민간 포함) 시장 전망에 따르면 세계 드론 산업 시장규모는 `16년 54억 달러에서 `22년 203억 달러로 예측되며 향후 10년간 총 1,3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UAV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글로벌 IT 기업들의 관심도 증가가 적극적인 UAV 연구·개발, 활용 참여로 이어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무인항공기가 기술 발전 및 상용가능성 향상과 더불어 활용인식이 확대되고 있음에 따라 상업용 무인기의 발전 또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민간부문 무인항공기 제조업체 중 DJI, Parrot, Xiaomi 등이 현재 민간 무인항공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16년 9월 3분기 기준) 민간용 무인항공기 활용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미국의 드론 관련 전문 리서치업체인 ‘Drone Analyst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연방항공국(FAA)에 등록된 소형드론의 활용 용도는 <그림 2> 그래프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사진·비디오, 점검 및 모니터링, 맵핑·측량순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각광받는 분야인 영화·특수촬영 외에도 점검 및 모니터링용도로서 건설·도로 분야에서 많이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실제로 건설분야에서 드론의 활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 전문기업 PwC에 따르면 `16년 전세계 UAV 서비스 시장 규모 1,273억 달러(약 146조원) 중 건설분야가 452억 달러로 약 36%를 차지했다. 특히 건설 분야 중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위험한 작업이나 현장에 UAV 투입이 가능해지면서 생산성 향상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과거 건설현장에서의 측량작업 시 현장 측량과 후처리 작업까지 일주일에서 열흘까지 소요되던 것이 UAV를 활용할 경우 촬영에서 후처리과정까지 약 2~3일로 작업기간이 줄어들었고 정밀도는 이전보다 더욱 정확해졌다. 현장측량 외에도 모니터링, 절토·성토량 측정에 UAV가 활용될 수 있으며 촬영 결과물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UAV 촬영결과물이 단순히 영상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위치정보와 GNSS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도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측량기술자 및 공간정보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야 한다. 공간정보 제작용 UAV는 단순 측량작업에서 사용되는 측량기기 중 하나이기 때문에 UAV만을 사용해서 측량작업을 수행 할 수는 없다.


특히 공간정보·측량분야에서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측량 및 맵핑 작업을 준비하고 있으나 아직 관련 규정과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기준이 없는 모호한 상황이다. 또한 측량기술자가 아닌 비전문가들이 무인항공기 사진측량 및 맵핑을 하고 있어 결과물의 정확성 및 전문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타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UAV 작업 또는 UAV 측량을 실시 할 때, 전문성 및 기술력을 지닌 ‘전문가 인력 pool’을 구성하여 활용해야 한다. 즉 UAV 인력 인프라를 구축하여 검증된 측량기술자와 측량업체를 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향후 건설·도로·인프라 등 공공분야에서도 드론의 활용방안을 조사·발굴하여 솔루션 및 소프트웨어 업체 전문가-pool을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활용성 증대를 위해 분야별 작업절차와 규정, 대가산정 등 확산 방안을 정립해 기준을 제공하되, 드론 활용에 있어 걸림돌과 장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규정과 절차 등 법 제도는 UAV 활용에 있어 안전성 확보와 적정 기준선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어야하기 때문이다. 현재 대부분의 UAV 업체는 중소기업 또는 Start-up 업체이기 때문에 정부의 전폭적인 기술개발 및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네거티브 정책을 실현하여 공간정보산업 분야와 타 분야가 윈윈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데일리해외건설  webmaster@icdaily.co.kr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