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2019년부터 본격적 하강국면


산업은행 

"도시재생사업 등 다양한 건설형태 시도 

연착륙 대비해야"

산업은행 산업기술리서치센터 분석


   국내 건설경기가 2019년부터 하강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연착륙을 위해 다양한 건설형태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edited by kcontents


산업은행 산업기술리서치센터의 장준양 선임연구원은 2일 '8·2 부동산 안정화 정책 이후의 건설산업 대응방안'이라는 보고서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건설경기의 선행지수인 건설 수주금액은 2014년 16.3%, 2015년 48.4%, 2016년 8.4% 증가했다가 올 7월(-29.5%)부터 감소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동행지수인 건설 기성금액은 2014년 0.4%, 2015년 4.2%, 2016년 16.9%, 올해 상반기 21.4%로 증가 폭이 점차 커지고 있다.


또 다른 동행지수인 종합건설업체 수도 2014년부터 증가세가 확대되며 건설 기성금액과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보고서는 수주금액이 계약 체결 이후 1년 반 내지 2년의 시차를 두고 기성금액에 반영되는 추세를 고려하면 건설 기성금액은 내년 말까지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즉, 국내 건설경기는 2014년부터 내년까지 상승기가 이어진 뒤 2019년부터 하락기로 접어든다는 의미다.


여기에는 8·2 부동산 안정화 대책으로 민간주택건설이 위축되고 내년 이후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줄어 공공 부문 물량도 감소할 것이란 예측도 영향을 미쳤다.


국내 건설산업 현황 분석[산업은행 제공=연합뉴스]


보고서는 현재 상승기에 미리 내후년 하락기를 대비해야 건설경기의 연착륙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서는 건설업계가 민간주택건설이나 공공건설 시장에만 매달리지 말고 다양한 건설형태를 시도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그 대안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제시했다. 도시재생사업은 수익성 위주의 전면 철거 방식에서 나타나는 주민 간 갈등, 지역 특성 상실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재개발 사업이다.


현재는 시행 초기여서 정부 주도로 진행되고 있으나 앞으로는 개별 기업이 사업 기회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보고서는 건설기업의 사업개발능력과 기술을 향상하기 위해 에너지 절감 빌딩인 '그린빌딩'과 같은 새로운 건축개념을 도입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그동안 국내 건설이 정부정책에 따라 등락이 결정됐으나 앞으로는 건설기업의 노력으로 건설경기 하락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pseudojm@yna.co.kr

케이콘텐츠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