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부실공사 현장


#1 새 아파트에 물이 '줄줄'

경쟁적 시공에 하자분쟁 급증


  입주한 지 1년도 안된 새 아파트가 이번 비에 곳곳에서 물이 새는 등 하자가 의심될 정도로 부실이 드러났습니다. 최근 수도권에서 아파트 건설이 경쟁적으로 늘어나면서 하자 분쟁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출처 sbs  동영상


동영상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312504&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edited by kcontents


엘리베이터 출입구 위에서 물이 줄줄 흘러내립니다.


[아파트 주민 : 물 떨어지는 소리, 막 쏴아 쏴아 이런 소리가 들리더라고요.]

지하 주차장의 천장 배관에서도 물이 흘러 바닥에 고일 정도입니다.


입주한 지 이제 반년 남짓 된 서울 서대문구의 한 아파트인데, 주민들은 큰 불편을 호소합니다.


[아파트 주민 : 결로(물이 맺히는 현상)때문에 현관문에 다 물이 고여 가지고 줄줄 떨어져서…다시 선택만 할 수 있으면 (이 아파트에) 살고 싶지 않아요.]


--


입주를 시작한 지 두 달 된 경기도 남양주의 또 다른 아파트. 지하 주차장 곳곳에서 물이 떨어지면서 주차장이 텅 비었습니다.


해당 건설사는 인력 부족을 탓하며 보수를 차일피일 미루고 있습니다.


[건설사 하자 보수 담당자 : 전국적으로 지금 누수 보수 팀들이 수배가 안 되는 상황이라서… 저희가 지금 보수를 안 하겠다는 건 아니고요.]


아파트 건설이 최근 크게 늘면서 이런 하자 분쟁도 지난 2년 새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최창식 교수/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 : 동시다발적인 시공이 이뤄지기 때문에 공기단축이라든 지 또는 다른 어떤 필요한 요인들을 맞추기 위해서 하자의 발생 가능성이 내재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가 품질검수를 한 뒤 이를 통과했을 경우에만 준공허가를 해주는 제도를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312504&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2 광주시 수상한 '등(燈)' 교체…감리 의견도 '묵살'

첨단도시 하남3지구 '구형' 등기구 도입

특정업체 염두 의혹 뒷말 무성


   광주시가 첨단·명품단지로 조성하겠다고 공언한 하남3지구 전기시설이 실시설계와 다른 '구형' 종류로 교체된 것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참고자료] 본 내용과 직접관련 없음.

edited by kcontents


특히 공사현장 감리기술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도시미관과 안전에 영향을 줄 관급자재 변경을 강행, 특정 업체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24일 시와 지역 전기업체 등의 말을 종합해보면 시는 올 1월 하남3지구 도시개발사업 전기공사 시설공사 입찰공고를 통해 주택가 등에 설치될 LED 보안등과 공원등의 종류를 '일반형'으로 발주했다.


보안등 191등과 공원등 62등 등 모두 253등으로 기초 발주가격은 7800여 만원 정도로 알려졌다.


지난해 하반기 용역을 거친 전기시설 설계에서 보안등과 공원등의 종류는 '모듈형' 이었는데 계약심사를 거쳐 '일반형'으로 관급자재가 바뀐 것이다.


일반형은 '등(燈)'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등기구 전체를 통째로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모듈형은 고장 부분만 교체가 가능해 유지보수와 경제성 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고장신고의 경우 보안등이 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지자체들도 '등' 교체시 모듈형을 쓰는 추세다.


광주시도 지난 2015년 7월부터 전국 지자체 최초로 가로등 모듈 표준화사업을 적용해 예산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고 강조해 왔다. 


시는 차가 다니는 큰 도로(12m 이상) 조명시설인 가로등과는 달리 골목길이나 작은 도로 전신주에 설치하는 보안등은 현재 이같은 표준화 규정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시가 일반형으로 자재를 교체하는 과정도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시와 협의를 거쳐 이미 '모듈형'으로 실시설계가 이뤄졌지만 담당 공무원이 바뀐 뒤 전기감리기술자와 아무런 상의없이 '일반형'으로 입찰이 진행됐기 때문이다.


감리 측 한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실시설계 도면 납품 과정에서 검토를 거칠 때 시에서 모듈형으로 한다는데 이의가 없었다"며 "그런데 계약심의를 거쳐 입찰 과정에서 일반형으로 바뀐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뒤늦게 관급자재가 바뀐 사실을 접한 전기감리기술자가 "설계와 다르다"며 '이의'를 제기했지만 수용되지 않았고 1개월 여 이상 시 관계자와 관급자재 교체 승인을 두고 실랑이가 이어졌다. 


감리 측은 사업을 발주한 시 종합건설본부와 입찰을 맡고 있는 회계과에 문제를 제기하며 성능을 분석한 검토보고서까지 제출했지만 사실상 묵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전기감리기술자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실시설계와 다른 물건으로 바꾸려고 해 승인할 수 없다고 했다. 감리는 제작 제품사양 승인을 해줄 경우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며 "설계사 측에서 '일반형으로 사용해도 좋다'는 의견이 와 3월24일 '적합'으로 제품승인을 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어떻게 실시설계와 달리 등 종류가 '모듈형'에서 '일반형'’으로 바뀌었는지 과정과 이유 등을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광주=뉴스1) 박중재 기자being@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