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년 만 시민 품 '용산공원', 생태자연공원 조성


토양 오염 조사 등 3단계 거쳐

여론 수렴 위해 8차례 세미나 개최

용산 기지… 지형 복원하고 녹지조성, 

243만㎡ 생태공원으로


   113년 만에 시민 품으로 돌아오는 용산공원은 생태자연공원으로 조성된다.



생태와 역사가 살아있는 자연공원 조성이라는 큰 밑그림은 그려졌지만 세부 계획은 아직 논의 중이다.


11일 국토교통부의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에 따르면 용산공원은 용산 미군기지가 경기 평택으로 이전하면서 남게 되는 터에 243만 m² 규모로 조성되는 최초의 국가 도시공원이다.


용산공원조성사업은 2003년 한미 정상 간 용산기지 평택 이전 합의 후 2007년 제정된 ‘용산공원조성특별법’에 의해 추진돼 왔다.


1904년 일본군의 병참기지로 강제수용됐다 광복 후엔 미군기지로 쓰인 ‘금단의 땅’을 국민에게 돌려주는 역사적 의미도 크다.


현재 2011년 종합기본계획 수립, 2012년 국제현상설계 공모를 거쳐 공원의 밑그림을 그리는 공원조성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 와 있다.




당초 국토부는 지난해 4월 부처별 공모를 통해 용산공원 내 기존 건물을 활용하거나 신축해 경찰박물관(경찰청), 어린이아트센터(문화체육관광부), 여성사박물관(여성가족부) 등을 만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서울시와 환경단체들이 곧바로 반발하고 나섰다.


국토부와 서울시가 갈등을 빚으면서 사업은 지연됐고 논란이 커지자 국토부는 뒤늦게 생태공원이라는 본래 취지에 맞게 새 건물은 짓지 않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뉴욕 센트럴파크 같은 생태자연공원을 만들 것”이라고 공약한 만큼 앞으로 ‘1호 국가공원’의 위상에 걸맞게 온전한 생태공원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


용산 미군기지는 모두 3단계의 과정을 거쳐 용산공원으로 거듭나게 된다.


국토부는 ▦1단계(2019~2021년) 토양오염 정밀조사ㆍ정화 및 기존 건축물 철거ㆍ활용 ▦2단계(2022~2024년) 본격적인 공원 조성 ▦3단계(2025~2027년) 잔여지역 공원 조성 및 녹지축 완성 등의 단계를 거치는 개발 프로젝트를 세웠다.


우선 군사기지로 활용하는 동안 훼손된 지형을 복원하고, 향토수종 및 자생종을 심어 공원의 생태적 건강성을 확보한다.


또 인공적으로 조성되는 공원과 녹지 숲을 조성해 야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자연성을 확보한다는 큰 밑그림을 세워놓고 있다.


국토부는 국민과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효율적으로 조율하고 담아내 용산공원 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용산공원의 미래를 국민들과 함께 고민하는 공개 세미나 ‘용산공원 라운드테이블’을 모두 8차례에 걸쳐 개최해 국민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네덜란드 조경기업 웨스트에이트와 건축사무소 이로재도 ‘생태와 역사가 살아있는 공간’을 기본 개념으로 용산공원 설계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물론 여기에 국민의 뜻이 대거 반영된다.




이미 2차례 공개 세미나가 열렸고 앞으로 ▦공원 운영 ▦역사ㆍ건축물 ▦도시 구조 ▦조경ㆍ생태 ▦청년들 시각 등을 주제로 한 세미나가 예정돼 있다.


용산공원 조성계획 최종안은 국민 의견 수렴 과정을 모두 거친 후 내년 확정된다.

김기중 기자 k2j@hankookilbo.com 한국일보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