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아파트 끝없는 ‘키높이 논란’


35층 vs 50층

서울시 "35층은 한강 조망권 확보 위한 것"


   "아파트 층수가 35층으로 높아졌지만 이마저도 사업성 확보를 위해 다시 50층을 지향하고 있다. 50층 다음에는 몇 층이 돼야 하느냐."



관련기사

잠실 은마의 무산된 초고층의 꿈..."이제 천덕꾸러기 신세로"

http://conpaper.tistory.com/53768

edited by kcontents


서울시가 지난달 29일 발간한『누구를 위한 높이인가』에 나오는 내용이다. 제목 그대로 최근 다시 불붙은 아파트 ‘35층 규제’의 이유를 설명한 책이다. 


서울시가 아파트 높이 규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책을 내놓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 산하 연구조직인 서울연구원의 도시 공간 전문가 박현찬·정상혁 박사가 공동 집필했다.


책은 ‘왜 35층인가’란 질문에 대해 "(35층은) 주먹구구로 나온 숫자가 아니다. 한강변 주요 조망 지점을 중심으로 배후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적정 높이가 35층이다. 용적률(대지 면적에 대한 건물 지상층 전체 바닥 면적의 비율) 상한선(300%)을 적용했을 때 무리 없는 수준이기도 하다"고 설명한다.


이 책이 관심을 끈 건 재건축에 속도를 내는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를 정면 겨냥한 모양새라서다. 강남 3구 재건축 대상 단지들은 서울시와 미묘한 신경전을 벌여왔다. 재건축 조합은 초고층 아파트를 고수하고, 서울시는 최고 높이를 35층 이상 허용할 수 없다고 맞서 마찰을 빚었다.




이런 와중에 정부가 ‘6·19 부동산 대책’에서 올해 말 끝나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부과 유예를 더는 연장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환수제 적용을 피하려면 올해 말까지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신청해야 한다. 


김태섭 주택산업연구원 도시정책실장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재건축 아파트가 관리처분 인가 신청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서울시가 재건축 최대 장벽으로 꼽히는 35층 규제를 굽히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말했다.


‘시간표’가 분명해진 상황에서 층수 제한 규제를 두고 재건축 아파트 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최고 45층 재건축을 추진했던 서초구 신반포3차·경남아파트는 35층 기준을 수용해 지난 5월 서울시 심의를 통과했다. 


지난달엔 서초구 반포 한신4지구와 반포주공1단지 3주구(주거구역 단위)가 역시 층수를 35층으로 낮춰 심의를 넘겼다. 반포주공 1단지 1·2·4지구도 서울시 요구를 수용, 건축 심의를 통과한 뒤 다음 단계를 준비하는 등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반포 3차 경남아파트 재건축 조감도/서울시 출처 시사저널e

edited by kcontents


강용덕 신반포3차 조합장은 "재건축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서울시 요구사항을 적극 수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반면 초고층 재건축을 추진 중인 아파트는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재건축 ‘대장주’로 꼽히는 3930가구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가 대표적이다. 이 아파트는 50층 재건축을 고집하다 서울시 요구를 반영해 한강변 아파트를 15층으로 짓는 대신 잠실역 인근 아파트 일부를 50층까지 짓는 ‘절충안’까지 냈지만 역시 퇴짜를 맞았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대표 김모(54)씨는 "층수 제한 벽을 뚫고 올해 안에 관리처분 인가를 받을 거란 조합원들의 기대감이 많이 떨어졌다. 5월 15억4000만원에 거래된 전용 76㎡ 호가(부르는 값)가 최근 14억8000만원까지 떨어졌다"고 말했다. 


역시 50층 재건축을 통해 ‘대박’을 노렸던 대치동 은마아파트나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도 서울시 층수 제한 규제에 막혀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서울시가 재건축 아파트와 갈등을 불사하며 35층을 고집하는 근거는 뭘까. 시는 2014년 도시계획인 ‘2030 서울플랜’과 한강변 관리기본계획을 세웠다. 여기서 서울지역 내 아파트(3종 일반주거지역)의 최고 층수를 35층으로 제한했다.

 



강남 3구 일부 단지 층수 낮춰 추진

양용택 서울시 도시계획과장은 "35층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 시절 한강변에 초고층을 허용했던 ‘한강변 공공성 재편 정책’ 이전에 심의를 통해 결정한 최고 층수다. 전문가·시민의 의견을 모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도시 경관을 보호하고 한강 조망권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층수 규제를 둬야한다고 주장한다. 한정된 용적률 안에서 건축물을 지으려면 층수 제약이 있다. 그런데 층수 규제를 두지 않자 한강변이 고층 아파트 개발로 인해 병풍처럼 차폐된 경관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다시 『누구를 위한 높이인가』를 펴 봤다. "경관은 특정인의 것이 아니라 모두의 것이다. 고층 아파트가 늘어설수록 시민이 함께 누릴 수 있는 조망권은 훼손된다. 서울 인구가 점점 주는데 아파트를 더 높게 지을 필요가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일반 주거지 층수를 35층으로 제한하되 강남·여의도 등 도심과 용산·잠실 등 광역 중심지는 비주거 용도를 포함하는 복합 건물을 50층까지 지을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미국 뉴욕도 맨해튼에는 상업용 고층 건물을 허용하지만, 주거지인 브롱크스의 공동주택 높이는 최대 14층 안팎으로 제한한다."


반대 목소리도 만만찮다. 35층이란 규제가 근거가 확실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층수 규제는 타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규제할 때는 반드시 객관적인 근거가 필요하다. 서울시 규제는 합리적인 논거가 없다"고 말했다.


층수 규제 부작용도 우려했다. 층수를 획일적으로 제한하면 오히려 성냥갑 같은 아파트가 양산돼 도시 경관을 해친다는 목소리다.


오히려 용적률 범위 안에서 아파트를 고층으로 짓되 동간 거리를 넓히면 경관이 나아진다는 주장이다.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는 "뉴욕·런던·도쿄 같은 대도시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라고 알려진 곳도 층수를 제한하는 곳은 없다. 35층이란 획일적인 규제가 오히려 성냥갑 같은 아파트를 양산해 서울 경관을 망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현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아파트 동간 거리를 넓힌다 해도 그 뒤에 또 다른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 시야가 가로막혀 의미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김기환 기자 [중앙일보 조인스랜드]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