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250만명 일터 증발"
일자리 정책과 역행
예정된 원전 건설시 신재생 고용효과의 10배
화력발전은 2기당 220만명
새 정부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과 이해상충...'딜레마'
‘탈원전’이 문재인 정부의 최우선 공약인 일자리 창출에 역행하는 정책이라는 지적이 원자력은 물론 건설 기자재업계에서 잇따르고 있다.
탈원전 정책을 밀어 부칠 경우 내년 이후부터 원전 2기당 연인원 250만명분의 일자리가 사라지게 된다.
출처 에너지경제신문
edited by kcontents
21일 원자력 건설 기자재업계에 따르면 원전은 전력원으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에도 큰 기여가 있는 산업인데, 탈원전 정책을 밀어 부칠 경우 내년 이후부터 원전 2기당 연인원 250만명분의 일자리가 사라지게 된다. 화력발전 역시 원전의 80% 정도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어 화력발전을 짓지 않을 경우 2기당(1기당 100만kW) 연인원 220만명분의 일자리가 없어지게 된다.
송종순 조선대 교수는 "원전 2기(1기당 140만kW)를 짓는데 평균 10조원이 들어가고, 본격적인 건설에 들어가면 4년 동안 연인원 250만명이 투입돼 이에 따른 일자리 창출효과는 다른 산업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며 "예정된 원전만 지어도 해마다 이 정도의 일자리는 길게는 10년 정도 이어질텐데, 다른 전원(신재생에너지)으로 대체할 경우 일자리 창출 효과는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할 것"이라고 했다.
전력기자재업계 한 고위 관계자 역시 "원전은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등 주기기 이외에도 2만개에 달하는 보조기자재 유닛이 필요해 관련 산업 유발효과가 막대하다"면서 "원전은 200만개 이상의 부품과 기자재가 들어가는 ‘기자재 백화점’으로 화력발전은 물론 신재생에너지와는 산업 파급효과가 비교할 수 없다"고 했다.
탈원전 정책이 확정될 경우 영덕의 천지 1~2호기, 울진의 신한울 3~4호기, 그리고 영덕과 삼척 중 한 곳에 건설하려는 2기 등 총 6기는 못 짓게 된다. 산술적으로 단순하게 잡아도 화력발전의 경우는 2기당 연인원 220만명으로 6기면 총 660만명에 달하는 일자리가 아예 없어지게 된다.
결국 원전과 화력발전을 건설하지 않으면 연인원 약 1400만명의 고용효과가 사라진다. 다른 산업에서는 도저히 기대할 수 없는 수치다. 같은 용량의 설비를 가스발전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경우 일자리 창출 효과는 10분의 1 정도로 줄어든다. 건설 기간이 짧기도 하지만 웬만한 설비가 모듈화돼 있기 때문이다. 물론 원전과 화력발전 건설로 창출되는 일자리는 정규직 보다는 비정규직이 압도적이다. 그러나 6기의 원전과 화력발전이 각각 순차적으로 건하면 약 10여년 동안 최소한 1인당 5년 정도의 안정적인 일자리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김병호 삼척상공회의소 회원사업부장은 "삼척시민들이 화력발전소 건설에 96% 이상 찬성한 것은 일자리 창출 효과 때문"이라며 "대안도 없이 중추 전력원 건설을 취소하거나 중단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정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에너지경제신문 천근영 기자]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