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암 말기암 치료 가능성 열었다"
강창율 서울대 약학대학 교수팀
면역회피 현상 이유 밝혀
과학 전문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
다양한 암 치료제가 나오고 있지만 전이된 암이나 말기 암은 치료가 어렵다. 국내 과학자가 전이암과 말기암을 치료하기 어려운 이유를 찾아내 새로운 치료법을 만들 가능성을 열었다.
서울대 제공
강창율 서울대 약학대학 교수팀은 암이 진행될수록 면역세포가 암에 반응하지 않는 면역회피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를 밝혀 과학 전문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월 6일자에 발표했다.
몸 안에 암세포가 생기면 처음에는 면역 세포 중 하나인 T세포가 제거한다. 암 면역치료법 역시 T세포 같은 면역 세포가 암을 제거하도록 만든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암이 다른 부위에 전이되고, 말기 암으로 진행될수록 T세포가 잘 반응하지 않게 된다.
연구팀은 크리스퍼/카스9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전이암과 말기암 모델 생쥐를 만들고 암세포가 면역 세포와 반응하는 과정을 살폈다. 그 결과 전이암과 말기암 세포 표면에는 초기 암세포와 달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주조직성 복합체 I (MHC class I)이 사라지고 면역세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단백질(PH-1, Tim-3)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암이 진행될수록 면역 세포가 반응하지 않는 이유를 찾아냈다.
또 전이암과 말기암 세포에 면역체계를 유도하는 물질인 터루킨21을 투여하자 기능이 사라졌던 면역세포가 다시 반응하는 것을 확인했다.
강 교수는 “전이암 및 말기암 환자에게 항상 발견되는 주조직성 복합체 I이 결핍된 암세포를 치료할 방법을 최초로 제시했다”며 “앞으로 이 방법을 이용해 말기암 환자의 치료 길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동아사이언스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