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화력발전소 건설사업 암초..."막대 투자 손실 우려"
포스코에너지, 5조원 규모 화력발전소 사업
문 정부 출범 이후 난관 봉착
손실보상 대책마련 없는 사업변경 지양해야
포스코도 화력발전소 무산위기, 경쟁력 비상
석탄발전소 추진 백지화 →LNG발전소 전환 요구
전문가 “국가기간사업체 유연한 대처 주문”
포스코에너지가 전력수급대책에 따라 추진하고 있는 5조원 규모의 화력발전소 사업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암초를 만났다.
출처 프레시안
edited by kcontents
정부의 6차 전력수급계획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이 사업은 새 정부의 ‘탈 원전, 탈 석탄’ 에너지정책으로 인해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하는 처지에 놓였다.
사업이 무산될 경우 포스코에너지는 이미 투자한 6천500여억원 가운데 사업부지 500억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날리게 된다. 이 사업을 수주한 포스코건설은 최근 발전소건설사업이 불투명해지자 현장사무실을 철수했다. 포스코건설은 올해 1월 삼척화력발전소 부대시설토목공사 7천900억원 규모의 사업을 수주키로 하고 공사에 착수했지만 전면 보류했다.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보완대책 없이 정책이 바뀌면 정부정책을 믿고 투자한 기업만 막대한 손실을 입는 일은 되풀이 돼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포스코에너지가 추진 중인 삼척화력발전소는 가장 걸림돌이었던 해역이용관련 협약·합의서를 지난 4월 20일 삼척시와 우여곡절 끝에 체결한 뒤 산업통상자원부에 건설사업 승인을 요청했지만 보류된 상태다.
해양수산부와 환경부와 협의한 내용을 산업자원부가 별다른 이유 없이 다시 보완을 이유로 반려를 되풀이하면서 최종승인을 해주지 않고 있는 것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상부의 지침이 내려오지 않아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원론적인 답변만 일관하고 있어 사실상 사업백지화 수준을 밟고 있는 상태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석탄발전소 추진을 백지화하고 LNG발전소로 전환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며 “이 경우 발전단가가 높아져 손실이 크고 손실보상에 대한 정부차원에서의 대책이 없어 답답하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포스코에너지는 별도 법인을 설립한 포스파워를 통해 오는 2021년까지 5조원을 투자해 삼척시 적노동 구 동양시멘트 폐광산 부지에 1천50㎿ 발전용량 2기의 화력발전소 건설을 준비해 왔다.
지난 4월 20일 삼척시의 해안이용협의를 마친 포스파워는 당초 6월 말까지 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환경부 등 중앙부처 협의를 거쳐 정부의 최종 인허가 승인절차를 기다려 왔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발전 백지화를 공약으로 내건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삼척 포스파워 화력발전소 인허가 절차가 모두 보류된 것으로 알려졌다”며 “정부 정책이 결정될 때까지 삼척화력발전소 건설여부는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해안침식 저감대책을 준비하느라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한 뒤 삼척시와 해안이용협의까지 마친 상태인데 정부 입장이 정리되지 못해 허탈하다”며 “3년간 엄청난 비용과 열정을 쏟았는데 노심초사 하며 지켜볼 뿐”이라고 했다.
포스코에너지는 지난 2014년 4월 동양파워로부터 4천310억원을 투자해 사업권을 인수하고, 그동안 2천여억 원을 투자했다.
포스코 화력발전소건설도 미세먼지 발생 요인으로 지목됨에 따라 난관에 봉착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철강 생산할 때 발생하는 가스로 발전기 13기를 돌려 1천91㎿의 전기를 생산한다.
이 가운데 20㎿짜리 2기(1973년 설치), 30㎿짜리 2기(1976년 설치) 등 100㎿ 설비를 폐쇄하고, 석탄을 원료로 사용하는 500㎿ 설비 신설 계획을 지난해부터 추진했다.
설치를 마치면 포항제철소 자가발전 비율이 현재 46%에서 80%까지 올라간다고 포스코는 밝혔다. 포항지역은 연인원 110만명 고용창출 효과가 있고 앞으로 20년간 지방세수 1천800억원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화력발전소 건립자체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면 국가기간산업인 포스코와 같은 경우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며 “특히 정부의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확정한 화력발전소 건설은 전력수급차원에서 승인해주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특히 석탄발전소가 차지하는 미세먼지비율에 3%에 불과한 만큼 획일적 기준보다는 유연성 있게 선별적으로 대처할 것을 주문했다.
최만수 기자 goodshot6508@naver.com 대경일보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