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학계, 대국민 성명 발표...""원전 안정성·경제성 입증됐다"
탈(脫) 원전 정책
"여러 사실 왜곡 위험 과장 요인 있어"
'고리 1호기 퇴역 기념 심포지엄'
'원자력 안전과 편익 대 국민 설명서' 발표
원자력이 필요한 9가지 이유 설명
원자력 학계가 8일 문재인 정부의 탈(脫) 원전 정책에 대해 "여러 사실이 왜곡되고 위험이 과장된 요인이 있다"며 대국민 성명을 발표했다.
한국원자력학회·방사성폐기물학회·원자력산업회의 관계자들이 8일 ‘고리 1호기 퇴역 기념 심포지
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동희 기자
edited by kcontents
한국원자력학회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한국원자력산업회는 이날 서울대 시진핑홀에서 열린 '고리 1호기 퇴역 기념 심포지엄'에서 '원자력 안전과 편익 대 국민 설명서'를 내놓으며 원자력이 필요한 9가지 이유를 들었다.
학계는 원전이 1960년대 후반부터 세계 31개국에 운영되며 50년간 안전성을 유지해왔다고 주장했다. 학계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포함해 세번의 대형 원전 사고가 있었지만, 체르노빌을 제외하면 방사능 피폭으로 인한 조기 사망자는 없었다고 했다. 학계는 이어 "원자력의 경우 준국산이라 에너지 수입액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며 "세계 최저 수준의 전기료를 제공하며 서민 에너지 복지에도 한몫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자력 학계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걱정없는 에너지라는 점도 강조했다. 학계는 "전력생산 kWh당 이산화탄소 생성량이 석탄의 경우 1000g, 가스는 490g인데 원자력은 15g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또 31평 아파트 면적만 있으면 100만kW 용량 원전에서 20~30년간 쓸 수 있는 핵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며 국가 에너지 안보에 좋다고 덧붙였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는 18일 영구정지를 앞두고 있는 고리 1호기의 공과를 짚고, 새로운 활용 방안이 논의되기도 했다. 고리 1호기는 1977년 가동돼 2007년 설계수명 30년을 다했으나 연장을 통해 40년간 전력을 생산했다. 학계는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원전 건설 기술과 운영 기술을 개발해 원전 수출까지 해낼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백원필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원장은 "고리 1호기는 원전해체의 시범역할뿐 아니라 교육시설로 활용이 가능하다"며 "계획이 구체화하면 원자력 안전법, 방사성폐기물관리법 등 법적 기반을 확보해야한다"고 말했다.
원자력 업계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반발의 목소리를 연일 높이고 있다. 지난 1일에는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산대 등 전국 23개 대학 에너지 전공 교수 230명이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 에너지 정책 수립은 충분한 전문가 논의와 국민 의견 수렴을 거쳐야 한다'는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논의를 거치지 않은 탈원전 정책이 에너지 정책 붕괴와 같다”고 지적했다.
교수들은 원전 비중을 줄이면 전기요금 인상도 불가피하다며 “정부 정책대로라면 전기요금이 30~40% 오를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시간당 발전 단가는 원전(68원)이 가장 쌌고, 석탄화력(74원)과 LNG(101원)·신재생 에너지(157원)가 뒤를 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신규 원전 건설 전면 중단과 건설 계획 백지화, 신고리 5·6호기 공사 중단, 월성 1호기 폐쇄, 탈핵에너지 전환 로드맵 수립 등을 공약한 바 있다.
조선비즈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08/2017060802261.html?main_hot2#csidx71928dfaf509046b35aebf26caebdff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