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상 풍력발전, 선진국보다 6년 이상 뒤져


선진국 ‘GW(기가와트)’, 한국 ‘MW(메가와트)’ 수준

전세계 해양풍력 설비 연평균 29%씩 급성장

"반대 극복할 주민 참여형 사업모델 발전시켜야


  풍력 발전 분야  신·재생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해상풍력 발전에 세계 각국이 적극 나서면서 시장규모가 최근 5년간 연평균 29%씩 급성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국내의 풍력 및 해상 풍력발전 보급과 기술력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지고 있어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출처 Constantine Alexander

edited by kcontents


8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 따르면, 전 세계 풍력발전 설비는 486.8GW로 원전 120기 설비 기준에 해당하는 규모다. 


최근 5년간 풍력발전 설비는 연평균 15%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지난 2016년 기준 풍력발전의 세계 시장 규모도 54.6GW에 달한다. 


이러한 설비와 시장 규모 혹대로 인해 전 세계 풍력산업 규모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2016년 기준 전 세계 풍력산업 시장 규모는 1110억 달러에 이른다. 이는 조선산업과 대등한 수준이다. 


해양풍력 선진국은 ‘GW(기가와트)’, 한국은 ‘MW(메가와트)’ 수준

 

디자이너 조현경


풍력발전과 비교하면 해상풍력 발전 분야는 미미한 수준이다. 전 세계 해상풍력 설비는 14.4GW가 보급돼 있다. 

 

하지만 설비 확장세는 풍력발전 분야를 뛰어넘는다. 최근 5년간 전 세계 해상풍력 설비는 연평균 29% 증가하고 있다. 해상풍력 발전은 오는 2030년까지 시장규모가 129GW로 6530억 달러 시장 규모를 나타낼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이미 시장규모의 성장세는 유럽과 중국이 선점하고 있다는 양상이다. ‘Global Wind Report 2016’에 따르면, 해상풍력 설치용량 누적 설치 1위는 영국(5.1GW)였고, 이어 독일(4.1), 중국(1.6), 덴마크(1.2), 네덜란드(1.1) 순이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의 풍력설비와 해상풍력설비 모두 미미한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국내 풍력설비 용량은 1031MW로, 전체 에너지 발전량 중 풍력발전량 비중은 0.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풍력발전 설비는 총 35MW 수준에 그쳤다. 


저조한 풍력발전 수준은 풍력발전의 기술 수준과 궤를 같이 한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분석 결과, 풍력발전 분야의 국내 기술 수준은 유럽의 66.3% 수준으로, 기술격차는 6.8년이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기술수준(75.9%)와 기술격차(4.37년)과 비교해보면 상당히 큰 격차 수준을 보이는 것이다. 




전문가들 “해상풍력, 주민 이익 공유 모델 만들어야”

풍력발전 전반의 성장과 함께, 국내에서도 3면이 바다인 점을 고려한 해상풍력 발전 계획이 추진돼 왔다. 지난 2010년 11월 정부 종합추진계획으로 발표된 ‘서남해 2.5GW 프로젝트’는 지난 4월 1단계 60MW 공사가 착공됐다. 하지만 1단계 단지는 용량이 축소되고, 사업기간도 당초 계획 대비 5년이나 지연된 2019년 12월에나 완공될 예정이다. 


성진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팀장은 8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회신·재생에너지포럼(공동대표 전현희·이원욱) 주최 토론회에 참석해 국내 풍력산업 전반의 침체 원인에 대해 발표했다. 


성 팀장은 “서남해 2.5GW 프로젝트는 정부 주도의 톱다운(Top-Down) 단지 개발 방식으로 주민 공감대 형성이 미흡하고 어업피해 등 사업자와 주민간 갈등이 심화됐다”면서 “부처별 인허가에 대한 사전 이해와 조율 미흡과 해양환경을 고려한 전략적인 경제성 판단도 미흡해 비용이 상승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국내 풍력산업 침체의 핵심 원인은 정책 신뢰성과 철저한 실행계획 수립이 미흡했기 때문”이라면서 ▲정부정책 일관성 확보 ▲바텀업(Bottom-Up)으로 개발방식 전환 ▲이해관계자 소통 ▲국가해상풍력단지 개발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해상풍력 발전의 경우 서남해 2.5GW 프로젝트의 경우처럼 주민의 동의를 구하기 힘들다는 난관이 존재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에 대해 이날 토론회에 참석해 발표한 송승호 광운대 교수는 “해상풍력 단지 개발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내 해상풍력을 대상으로 장기 모니터링과 환경 영향 평가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면서 “지자체 주도의 지역주민 참여형 사업모델을 발굴해 지역 주민과 이익을 공유하는 모델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승욱 기자 gun@sisajournal-e.com 시사저널e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