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조원대 인도 인프라 프로젝트, "공기업과 컨소시엄 진출 유리" Modi to Spend $59 Billion to Upgrade India's Infrastructure


도로 철도 항만 발전소

민관협력투자사업 많고 공기관 선호 때문 


   지난해 화폐개혁 성공과 함께 주의회 선거에서 집권당인 인도인민당(BJP)이 승리하면서, 모디 총리의 연임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인도 건설시장을 주목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모디 총리는 2014년 취임 직후부터 인프라 확대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 우리 새 정부도 외교 다변화를 위해 인도와의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측돼 국내 건설기업 진출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그래픽=이가영 기자>   ©중기이코노미



출처 ibef.org



Modi to Spend $59 Billion to Upgrade India's Infrastructure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7-02-01/modi-plans-59-billion-rail-road-push-as-bombardier-ge-invest

edited by kcontents

 

잠재력 큰 건설시장…60조원대 인프라 프로젝트 발주

해외건설협회 아시아실 박형원 실장은 국토교통부와 해외건설협회 등이 16일 주최한 ‘중소기업 해외건설 진출지원 설명회’ 자리에서 “인도는 잠재력이 큰 국가인데다, 시장개방 확대와 모디 총리의 연임가능성 등으로 건설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며 “틈새시장인 인도에 중견·중소기업이 적극 진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도는 ‘Make in India’를 내세우며 자동차·화학·건설·전자기기와 같은 자국 제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이 가운데 건설업은 모디 총리 취임 이후 최대 수혜산업으로 꼽힌다. 규제철폐, 행정절차 간소화 등을 통해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장려하고, 도시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글로벌인사이트에 따르면 인도는 2017년 기준 중국(24조달러), 미국(10조달러), 일본(7900억달러)에 이어 세계 4위(4800억달러)의 건설시장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지난해 화폐개혁 성공과 모디 총리의 집권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건설시장 규모도 더 커질 전망이다. 실제 인도정부의 올해 건설예산은 전년대비 7% 늘었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건설시장 평균성장률이 7%대에 달할 것이라는게 글로벌시장 전문기관들의 분석이다.

 

아울러 올해 인도정부는 철도시장을 완전 개방하고, 개발 및 건설 승인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인프라 중심의 경기부양 정책을 강화할 예정이어서 하반기 이후 이와관련한 발주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점쳐진다.

 

현재 인도정부는 60조원대의 10대 인프라 프로젝트를 발주할 계획이다. ▲도로개발 5개년 계획에 따른 동북지역 1일 20㎞ 이상의 도로 인프라 확장 ▲1200억달러의 고속철 등 철도부문 투자 ▲사가르말라 항만을 중심으로 한 현대화사업 ▲2004년부터 2020년까지 2단계에 걸친 공항부문 300억달러 투자 ▲화력발전소에서 원전·신재생에너지로의 전력시장 개편 ▲100개 스마트시티 추진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래픽=이가영 기자>   ©중기이코노미

 

“건설 中企, 공기업과 컨소시엄 구성하는 게 유리”

하지만 인도의 특수환경과 제도에 유념해야 한다. 특히 중견·중소기업 입장에선 현지발주 프로젝트 대부분이 민관협력투자사업(PPP)이라는 점이 걸림돌이다. 건설수요는 증가하는데 필요재원은 한정돼 있어, 인도정부는 일정수준 이상의 투자자 지분보유와 금융조달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따라 대부분의 공공사업이 민관협력투자사업과 같은 투자사업 위주로 진행된다.

 

인도정부 발주처가 공기업을 선호하는 성향도 염두에 둬야 한다. 엘리트 관료주의가 팽배해 정부 발주처의 경우, 애당초 민간업체의 면담을 거부하고 공기업 또는 정부와의 대동을 요구한다. 대기업이 아닌 민간기업, 그것도 규모가 크지 않고 자금조달 능력도 부족한 중견·중소기업의 진출이 쉽지 않은 구조다.

 

따라서 박 실장은 “중견·중소기업은 프로젝트 초기단계부터 공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게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공기업이 참여하는 경우 초대형 사업 입찰요건을 충족하기 쉬운데다, 건설기업과 공기업 각각의 장점을 살린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는 게 박 실장의 설명이다. 현재 인도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스마트시티 개발사업을, 철도시설공단이 메트로·철도·준고속화철도·철도역사 개발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함께 “작년부터 대외경제협력차관(EDCF)이 허용돼 100억달러의 금융패키지가 제공된다”며 “자금이 부족한 기업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대외경제협력차관은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산업설비 및 기자재 구입 또는 건설자금을 경제협력 차관형태로 지원해주는 공적개발원조자금을 말한다.

 

한편 해외건설협회는 중소건설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있는데, 해외건설 시장개척 자금지원이 대표적이다. 리스크 부담이 큰 신시장에 진출할 때 필요비용 일부를 지원한다. 아프리카·중남미 등의 미진출국이나 최근 5년간 수주실적 4억달러 미만 국가, 토목·건축·용역 분야의 최근 5년간 수주실적이 2억달러 미만 또는 10건 미만의 국가 등이 신시장에 해당한다. 국외항공료·체재비·현지교통비 등에 건당 2억원 이내(타당성조사는 3억원 이내)까지 지원한다.

 



이밖에 해외건설시장에 진출할 예정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해외건설 전문가 컨설팅 지원’, 해외건설현장에 파견한 신규 채용인원에 대한 파견비용 및 훈련비용을 제공하는 ‘해외건설현장훈련(OJT) 지원사업’도 있다. 단 모든 지원사업은 해외건설기업으로 등록된 기업만 가능하다.

이가영 기자 (young@junggi.co.kr)  중기이코노미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