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이후 '새만금 사업' 한층 속도
청와대 전담부서 설치 기대
중단 앞둔 군산조선소 회생 절실
국책사업인 새만금사업이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경일수중공사
edited by kcontents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후보 시절 "청와대에 새만금 전담부서를 설치해 대통령이 직접 (새만금사업을) 챙기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문 당선인은 지난 2월 전북 기자협회 주최 토론회 등에서 "새만금은 전북과 대한민국에 새로운 꿈과 희망이 되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새만금은 원래 계획대로 2020년까지 매립이 마무리되어야 한다"며 "민간에 맡겨두지 않고, 공공주도 매립으로 전환하고 신항만·국제공항·도로·철도 등 기본 인프라 구축을 앞당기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새만금 노출부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edited by kcontents
이에 따라 1991년 첫 삽을 뜬지 30년이 다 되어 가지만 아직도 지지부진한 새만금사업이 지자체가 아닌 국가주도로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으로 전북도는 기대했다.
역대 정권은 그동안 새만금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예산 배정은 그렇지 못했다.
새만금 기본계획(MP)이 2011년 확정됐지만 매년 2천억원가량이 목표보다 적게 배정됐다.
지금까지 7년간 1조4천억원이 부족한 셈이었다. 2020년(1단계)까지 총개발면적 409㎢(매립 291㎢, 담수호 118㎢)의 73%를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조성률은 전체 매립용지(291㎢)의 35%에 그치고 있다.
전북도는 문 당선인이 청와대에 새만금 전담부서를 설치하면 용지매립이 국가 주도로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새만금에 도로를 비롯해 신항만과 배후단지, 국제공항, 수목원, 간척지 첨단농업연구소, 전망 타워 등 국책사업에 걸맞은 인프라가 구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새 정부에서 SOC 구축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지역 업체 참여도 확대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전북도는 설명했다.
도는 이밖에 농생명클러스터 조성, 전북혁신도시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를 활용한 제3의 금융도시 육성, 탄소소재 산업과 안전 융복합제품산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정상화 지원, 지리산권 친환경 전기 열차사업 지원, 국립 지덕권 산림치유원 조성, 무주∼대구 고속도로 건설 추진 등 10개 분야 23개 세부사업을 확정하고 새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오택림 전북도 기획관은 "우선 바다 상태인 새만금을 매립해 땅이 드러나야 기업 유치 등 국내외 투자를 적극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면서 "새 정부가 매립공사를 비롯해 기본 인프라를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면 새만금이 동북아시아의 거점으로 빠르게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7월 가동 중단이 예정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사태도 변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문 당선인이 '군산조선소 존치'를 대선공약으로 내걸었고 수차례 조선업을 살리겠다고 강조했기 때문이다.
군산조선소는 이달 마지막 선박을 진수시키고 나면 물량이 없어 7월께 문을 닫을 처지에 놓였다. 직원 5천200여명중 이미 떠난 3천200여명을 제외한 2천여명이 거리에 나앉을 위기에 놓였다.
세계 최대 규모인 130만t급 도크와 1천650t급 골리앗 크레인을 갖춘 군산조선소가 가동에 들어간 때는 2010년. 그간 선박 70척(약 6조5천억원 규모)을 건조하며 군산 경제의 20%, 전북 수출의 10%를 차지할 정도로 지역경제에 이바지한 바 컸다.
군산시민과 도민들은 가동 중단 결정에 강력히 반발하며 '군산조선소의 신속한 정상화'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문 당선인이 지난 3월 전북을 찾아 "(전북과 군산) 지역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군산조선소 정상화를 지원하겠다"며 '선박펀드 지원'을 약속한 만큼 이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문동신 군산시장은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결정으로 군산과 전북경제가 10년 전으로 되돌아갔다"며 "새 정부가 들어서면 당선인이 공약한 대로 적극적인 해법이 나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최영수 기자 kan@yna.co.kr ichong@yna.co.kr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