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구팀, 부작용 적은 '항암치료 기술' 개발 Researchers develop new non-invasive treatment for cancer


민달희 서울대 교수

"식도암·자궁경부암 등에 적용할 것" 


   일부 암은 치료에 '빛'을 쓰기도 한다. 빛을 받으면 활성산소를 뿜어 암세포를 죽이는 화학물질인 '광감작제'(photosensitizer)를 환자에 주입하고 암 부위에 빛을 쪼이는 것이다. 그런데 이 광감작제는 정상조직에도 남아 햇빛에 반응, 피부 손상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개발했다.


민달희 서울대 교수


Researchers develop new non-invasive treatment for cancer

http://english.yonhapnews.co.kr/business/2017/04/21/0504000000AEN20170421011000320.html

edited by kcontents


미래창조과학부는 민달희 서울대 화학부 교수팀이 다른 세포보다 암세포로 광감작제가 잘 들어가도록 돕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나노물질은 이산화망간을 평평한 시트 형태로 만든 것으로, 표면에는 엽산을 입혔다. 암세포에는 엽산을 받아들이는 수용체 단백질이 매우 많으므로, 이 나노물질을 다른 세포보다 더 잘 받아들일 수 있다. 


연구진은 실제 나노물질에 광감작제를 붙여 암을 앓는 쥐의 혈관에 주사해 효능을 확인했다.


광감작제-나노물질 복합체는 암세포 안으로 들어가 항암효과를 나타냈다. 암세포로 잘 전달되므로 기존 광감작제 투여량의 10분의 1만 넣어주면 충분했다. 광감작제와 분해된 복합체는 몸속에서 스스로 분해된다. 


민달희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나노시트는 폐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등 다양한 난치성 암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부작용이 적고 시술성공률이 높은 차세대 항암치료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 기초연구지원사업 지원 등으로 이뤄졌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2차원 머티리얼즈'(2D Materials) 11자에 실렸다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sun@yna.co.kr 

케이콘텐츠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