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전 경쟁력, 세계가 인정…앞으로도 꼭 필요한 에너지원"

 

이관섭 한수원 사장

  “우리가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에 건설 중인 원자력 발전소(원전)를 보고 세계 각국이 기술력을 극찬하고 있습니다. 해외 원전 수주가 쉬운 일은 아니지만 전 임직원이 혼신을 다해 뛴다면 체코, 폴란드 등에서도 좋은 소식이 있을 것입니다.”

한국전력의 자회사인 에너지 공기업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2년 연속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매출 11조2771억원, 순이익 2조4721억원으로 2015년의 매출 10조7470억원, 순이익 2조4571억원을 갈아치웠다.


이관섭 한수원 사장은 “우리나라 전력의 3분의 1을 책임지는 회사인 만큼 인재 교육 등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이태경 기자

edited by kcontents


한수원은 국내를 넘어 해외로 뛰고 있다. 1970년대 해외에서 기술을 들여와 원전을 지었던 나라가 40년간 축적된 노하우·기술력을 무기로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11월 한수원 최고경영자(CEO)에 오른 이관섭 사장은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을 지낸 정통 관료 출신이다. 그는 원전 비리로 휘청대던 한수원이 거듭날 수 있도록 관료로서 조력자 역할을 했으며, 지금은 우리 원전 산업의 미래를 설계하는 경영자로 변신했다.


이 사장은 1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건물 8층 한수원 UAE사업센터에서 조선비즈와 인터뷰를 갖고 “원전은 값싼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확실한 대안”이라며 “안전하게 운영한다면 앞으로 40~50년간 주요 에너지원으로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이 사장은 “우리 원전의 경쟁력은 중국 수준으로 건설 원가를 맞추면서도 중국과 비교가 안될 정도로 높은 품질을 제공한다는 것”이라며 “신고리 5·6호기는 수출을 염두에 두고 기존 국내 원전 대비 10배 이상 안전성이 개선된 수준으로 건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원전, 안전성 보장되면 값싼 전기 생산 확실한 대안”

취임 후 5개월간의 소회는? CEO로서 경영철학이 있다면.

“한수원이 한국전력 내 조직이었을 때는 관리가 잘 되었는데 2001년 분사 후 여러 사건을 겪으면서 많이 힘들었다. 전임 CEO가 3년간 고생을 많이 하셨고, 앞으로 정상궤도로 올리는 게 내 임무라고 생각한다.


한수원은 안전이 가장 중요한 회사다. 안전은 곧 사람에 대한 믿음이다. 회사가 어떤 문화를 갖고 있느냐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 우리나라 전력의 3분의 1을 책임지는 회사인 만큼 채용부터 교육 등도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지난해 월성 원전 1·2·3·4호기가 80일 동안 가동이 중단됐지만 실적이 좋았는데.

“우리는 원전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면 곧장 한전에 판매한다. 비용(건설·운영비)과 전기 판매단가, 원전 가동률 등이 한수원의 실적을 결정한다. 지난해 가동률이 다소 떨어졌을 수는 있으나 실적이 좋았던 것은 전기 판매시장 상황이 좋았기 때문이다.

후쿠시마 사고 이전에는 한수원의 가동률이 92~93% 수준으로 세계 1위였다. 하지만 후쿠시마 사고가 일어난 후 많은 사람이 안전에 관심을 갖게 됐다. 가동률이 낮아지더라도 정비를 확실하게 하고 안전 문제에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다. 원전의 안전성이 중장기적으로도 회사의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대선 후보들이 원전에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는데.

“원전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대선 공약으로 이어진 것 같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로 볼 때 (화력발전 때문에 생기는) 미세먼지 문제 해결, 에너지 해외 의존도, 경제성을 따진다면 앞으로도 40~50년간 원전이 에너지원으로 큰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

과거 산업화가 진행될 때처럼 전력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전기자동차도 그렇고 앞으로도 전기가 사용되는 수요는 많다. 원전은 안전성만 보장된다면 값싼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확실한 대안이다.”

건설 원가·품질·공사기간 준수가 한국 경쟁력


체코, 폴란드 등 해외 원전 수주전에 참여하고 있는데 진행 상황은.

“원전을 운영하느냐의 여부는 그 나라의 에너지 환경에 달려 있다. 각자 자신에게 맞는 에너지원으로 원전을 택할 뿐, 선진국이냐 후진국이냐의 문제는 아니라는 말이다. 과거 미국, 프랑스, 러시아가 주도하던 세계 원전 시장이 중국, 러시아가 석권하는 것으로 판도가 변화했다. 이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전 세계적으로 원전 규제가 강해진 탓이다.


한수원은 신고리 3호기 준공으로 3세대 원전(발전효율과 안전성을 높인 최신형 모델)을 운영하는 유일한 나라가 됐으며, 신고리 4·5·6호기와 UAE 바라카 원전 건설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UAE에서 한국이 원전 잘 짓는다고 극찬이 나오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는 건설 원가는 중국 수준으로 맞추면서도 품질은 비교가 안될 정도로 높다. 공사기간도 철저하게 지킨다.


원전 도입은 단순히 회사간의 차원이 아니라 국가간 협력의 성격이 크다. 러시아 같은 나라를 보면 기술력과 함께 자본 지원도 뛰어나다. 미국, 핀란드 같은 나라는 최근 원전 시공 경험이 없어 관련 산업이 무너졌다. 해외 원전 수주가 쉬운 일은 아니지만 어렵다고 안하면 할 게 없다.”


지난 2월 법원이 월성원전 1호기 계속운전 허가 취소 판결을 냈는데.

“1심 판결이 절차상의 흠결을 지적한 것이지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항소심에서는 적극적으로 소명하기 위해 지난달 제3자 소송참여 신청을 했다.

많은 분이 원전의 계속운전 안전성에 대해 걱정하는데 전 세계에서 설계수명이 지난 원전 168기 중 90% 이상이 계속운전 승인을 받았다. 안정성만 확보된다면 우리의 에너지 수급 현실과 국가자산 활용을 고려할 때 계속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후 원전의 사고를 다룬 영화까지 나오면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원전 사고의 상당 부분은 기계·설계상 결함이라기보단 사람에 의한 오류가 많다. 설계 수명 연장은 국내외에서 일반적인 관례다. 오래된 발전소가 운영 노하우가 축적돼 오히려 고장률이 낮다. 고리 1호기 사례를 보면 통계적으로 안전하다. 만약 원전이 설계상 오류가 있거나 기계 노후화로 치명적 결함이 발생한다면 이 역시 교체나 수리로 극복할 수 있다.”


신고리 5·6호기, 기존 원전 대비 10배 이상 안전


경주에서 지진이 계속 발생하면서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목소리도 나오는데.
“신고리 5·6호기는 수출을 염두에 두고 기존 국내 원전 대비 10배 이상 안전성이 개선된 0.3g(규모 7.0의 지진까지 견디는) 수준으로 건설되고 있다.


(경주 지역의) 단층대 조사를 진행 중이니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보자는 사람도 있다. 한수원은 건설을 계속하고 결과가 나온 후 (문제가 있는 부분은) 보완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걱정하는 분들의 주장은 이해가 가지만 손놓고 무작정 기다리는 게 맞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건설이 늦어지면) 비용 문제도 생긴다.”


지난해 7월 UAE에 건설 중인 한국형 원전 4기에 대해 1조원 규모의 운영지원계약을 체결했다.

“한번 원자력 발전소 짓고 그냥 손 터는 게 아니라 운영노하우를 전수해주는 노력도 필요하다. 러시아에서 기술적으로 원전 자립을 원하는 체코, 폴란드 같은 나라도 (UAE처럼 운영지원을) 원할 수 있다.

과거 삼성전자, 현대·기아자동차가 동유럽에서 닦은 한국의 이미지가 시장 개척에 도움이 되고 시너지 효과도 있다. 한국이 ‘갤럭시S 8’ 같은 제품을 만든 나라인 만큼 현지에서 기대가 크다.”

정부가 지난해 고준위(高準位) 방사성 폐기물(사용후 핵연료) 관리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처리장 부지 선정이나 주민 동의 등 난관이 많은데.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해야 한다. (사용후 핵연료 문제는) 한수원은 물론 국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골치 아프다고) 폭탄돌리기 하듯이 하면 발전소 문 닫는 상황이 올 것이다.


국민을 어떻게 설득할지에 앞서 한수원이 신뢰를 얻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정보공개도 투명하게 하고 비판은 수용해서 개선할 부분은 고쳐나가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아직 국회에서조차 당마다 입장이 다르다. 국민이 관심을 갖고 의견을 모으는 공론화가 부족했다고 생각한다.”


☞이관섭 한수원 사장

이관섭 사장은 행정고시 27회로 공직에 입문, 지식경제부 산업경제정책관, 에너지산업정책관, 에너지자원실장을 역임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을 맡다가 제1차관까지 지냈다.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장 시절 원전 부품 시험성적서 위조 논란을 수습하는 등 우리 원전 산업의 혁신과 변화를 주문했다. ▲1961년 대구 ▲서울대 경영학과 졸업 ▲행정고시 27회 ▲기획예산처 경영지원단장 ▲대통령실 선임행정관 ▲지식경제부 산업경제정책관, 에너지산업정책관, 에너지자원실장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제1차관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3/2017041302083.html#csidx7916088e2f079a48b70122f66a5e051 
케이콘텐츠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