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고령층, 렌트 푸어(Rent Poor)..."수입 30%이상 주거비 사용

카테고리 없음|2017. 4. 4. 19:50


국토연구원 2016년 주거실태조사 

20대 42%·70대 54%·80세 이상 58% 

정부 주거복지정책 세분화해야 


   청년층이나 고령층 임차가구 2가구 가운데 1가구가 소득의 30% 이상을 임대료 등의 주거비로 쓰는 렌트푸어(Rent Poor)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임대주택 공급 확대책이나 저소득층에 비용을 보전하는 차원의 주거 복지정책을 지원 계층이나 대상별로 세분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출처 포커스뉴스

edited by kcontents


4일 아시아경제가 입수한 국토연구원의 지난해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월소득대비 임대료비율(RIR)을 따졌을 때 30% 이상인 가구의 비중은 27.1%로 파악됐다. RIR은 전월세 등 무주택가구가 매달 내는 임대료를 중위수 기준으로 파악해 주거비 부담을 가늠하는 지표로, 전체 소득 가운데 30% 이상을 지출하면 주거비 부담이 과중한 것으로 분류된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등 수도권에서, 연령별로는 20대나 70, 80대 등 청년층ㆍ고령층에서 주거비 부담이 과중한 가구가 많았다. 서울에서 RIR 비중이 30%를 넘는 가구는 39.7%로 집계됐다. 전월세로 사는 10가구 가운데 4가구 정도는 100만원을 벌면 30만원 이상을 임대료 등의 주거비로 쓰고 있다는 얘기다. 


가구주 연령으로 따졌을 경우 20대의 42.4%가 RIR이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70대는 54.4%, 80세 이상은 58.9%로 비율이 훨씬 높았다. 청년층이나 고령층 가운데 절반 정도는 주거비 부담에 허리가 휠 정도란 얘기가 나오는 배경이다. 소득계층별로 따져보면 저소득층에서 RIR 30% 이상 가구가 37.8%로 전체 평균치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정부가 관련 규정에 따라 해마다 조사하는 주거실태조사에서 임차가구 가운데 주거비 부담이 높은 가구를 지역이나 소득, 연령별로 나눠 따로 살펴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를 진행한 국토연구원은 검수작업을 거쳐 오는 6월께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강미나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주거비 부담이 큰 가구의 경우 아파트보다는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유형이 더 많았고 오피스텔 등 주택 이외 거처에 사는 비중도 전체 평균치보다 높았다"면서 "이들의 가구당 주거면적도 평균치보다 20% 이상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도 최근 주거비 부담과다가구를 겨냥해 임대주택 입주기준을 손보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1인가구가 늘고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이 같은 주거비 부담과다가구가 지원 사각지대에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간 공공임대주택이나 주거급여의 경우 수급자에 집중되면서 차상위계층의 주거부담이 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매입공공임대주택 입주자를 뽑을 때 주거비 부담과다가구를 우선순위로 두거나 가점을 주는 방안을 시범적으로 도입했다. 


진미윤 LH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은 "주거비부담이 큰 가구는 자산형성이 어려워 실질 소비지출이나 소비성향이 줄어든다"면서 "자산형성을 지원해 생애주기에 맞춰 계층이동, 주거이동이 가능한 사다리구조를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아시아경제]

케이콘텐츠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