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률 1.8%..."슬픈 공시족 나라"
청년 취업의 유일한 동아줄
한 해 28만9,000명 지원 6,000명 만 합격
지난해
국가직 7, 9급 시험 지원 공시족 28만9,000여명
최대 85만명, 공무원 시험 준비 중
대졸자의 55.8%
“지방대를 나와서 대기업 벽을 높게 느꼈어요. 전공이나 자격증은 모자람이 없고 제 분야에서 프로페셔널이라 자부하고 있었지만, 어쩐지 대기업은 좀 망설여졌어요.
출신학교가 지방대여서요.”(김모씨ㆍ28세 남ㆍ9급 공무원 시험 준비 중)
“주변 직장인들이 공무원 부럽다는 이야기를 많이 해요. 복지도 좋고, 위 눈치 볼 일도 적고, 잘릴 위험도 없잖아요. 안정성이랑 복지가 가장 중요해요. 금전보다 휴가나 자리 보장 같은 거요.”(나모씨ㆍ24세 여ㆍ9급 준비 중)
출처 한국일보
edited by kcontents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공시족’. 국가직 7, 9급 시험에 지원한 공시족이 지난해 28만9,000여명에 달했다. 지방직 공무원 지원자와 시험 준비 중인 비응시자까지 포함하면 그 규모는 최대 85만명까지 추산될 정도로 공무원 시험은 청년 취업의 유일한 동아줄이 됐다. 한 해 대학 졸업자가 51만7,000명이니 공시 지원자가 대졸자의 55.8%에 달하는 규모다.
정작 시험에 합격하는 비율은 1.8%. 한 해 28만9,000명이 지원해 6,000명만 붙고 28만3,000명은 낙방한다. 1.8%에게만 내려오는 동아줄을 바라보면서도 98.2%는 내년을 기약, 공시촌으로 돌아온다.
심지어 공시족의 규모는 해마다 늘고 있다. 9급 공채 응시자 수는 2011년 14만명에서 2013년 20만명을 돌파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19만명 선을 유지했으나 지난해 다시 22만명으로 급증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장기 불황의 출판시장에서 공무원 수험서만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온라인 서점 예스24에 따르면, 2014년 이후 공무원 수험서는 매해 170% 가까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2014년 약 67만권이었던 공무원 수험서 판매량은 2016년 약 200만권으로 3배나 증가하며 역대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다.
청년들이 공시로 몰려드는 것은 근본적으로 공무원의 고용안정성 때문이다. 그러나 고용안정성 못지 않게 중요한 요인이 기회균등이었다.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가 대학내일20연구소, 청년유니온과 공동으로 연구한 ‘공시준비 청년층 현황 및 특성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공시족들은 공무원 시험을 “불리한 조건과 환경을 피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진이 지난해 11월 공시족 6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취직한 적이 없는 공시족의 43.6%가 ‘서류나 면접 등 채용 과정에서 불합리한 경험을 했다’고 답했다. 9급 준비 중인 이모(29ㆍ여)씨는 “취업 면접 보고 자기소개를 할 때, 경기지역 대학을 나왔다고 하면 서울서 나온 애들보다 하등의 존재라고 느껴진다. 대기업 면접을 한번 봤는데, 5명의 응시자 중 저한테는 질문이 한 개밖에 안 왔다. 당연히 안 붙겠다 싶어서 대충 이야기하고 나왔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공무원 시험은 정말 다양한 학력의 인재들이 전국에서 골고루 채용되는 결과를 내고 있을까. 26일 한국일보가 입수한 서울시 7,9급 일반행정직 합격자 학력별 현황 자료를 보면 2016년 9급 합격자 중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는 54.6%로 5년 전 39.1%에 비해 15.5%포인트 증가했다. 2011년 서울지역 대학 졸업자보다 많았던 서울 외 소재 대학 졸업 합격자(44.2%)는 5년 뒤 39.5%로 줄어 그 비율이 역전됐다. 소위 ‘인서울’ 졸업자의 합격자 비중이 급격히 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공무원시험은 1999년부터 응시조건에서 거주지 제한을 삭제, 국가직공무원시험과 비슷하게 선호되고 있다.
기회의 문은 닫혀 있고, 유일하게 열려 있는 줄 알았던 공무원 시험에는 점점 더 많은 사람이 몰린다. 합격자는 ‘인서울’에서 더 많이 나오고, 기회의 균등은 점차 형식적으로 느껴진다.
유엔 지속가능위원회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 행복 리포트 2016’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진로나 인생의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있느냐를 평가하는 생애선택자유지수에서 조사 국가 158개국 중 122위로 최하위권이었다. 전년도 116위보다도 떨어졌을 뿐 아니라 세계행복지수 58위보다 형편없이 낮은 결과다.
송운석 단국대 행정학과 교수는 “행정학과 수업에서 공무원이 되겠다는 사람 손 들어보라고 하면 90%의 학생이 손을 들지만 진심으로 공무원을 하고 싶은 사람만 들라 하면 단 2명만 든다”며 “50만명의 대학 졸업생 중 15%밖에 정규직이 되지 못하는 현실을 바꾸지 않으면 공시족 규모를 줄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다지 되고 싶지도 않은 공무원이 될 수밖에 없으나 되기도 힘든 곳. 이곳은 슬픈 공시족의 나라다.
박선영 기자 aurevoir@hankookilbo.com
박재현 기자 remake@hankookilbo.com 한국일보
케이콘텐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