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국제석유시장 장악력 흔들린다 Saudi Arabia’s Oil Supremacy Falters



OPEC 합의에 따라 대폭 감산

미국에 치이고 

중국 시장에서도 러시아에 뒤져


    국제 석유시장을 주무르던 사우디아라비아의 손아귀가 약해지고 있다.


source vestnikkavkaza.net




사우디의 크루드 오일 생산량의 변화 추이 

source Onyx - Power & Gas Consulting


Saudi Arabia’s Oil Supremacy Falters

https://www.wsj.com/articles/saudi-arabias-oil-supremacy-falters-1490088604

edited by kcontents


2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합의에 따라 대폭 감산에 나서면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시장 장악력이 느슨해졌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사우디의 대미 원유 수출 물량은 그 전주보다 하루 42만6천 배럴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 폭은 OPEC의 감산이 시작된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크다.


1990년대만 해도 미국이 수입하는 원유의 약 3분의 1은 사우디 산이었다. 하지만 미국이 수입하는 원유 중 사우디의 점유율은 지난해 11월 현재 그 3분의 1 수준인 12%까지 떨어졌다.


미국의 셰일 석유 회사들은 OPEC의 감산에 따른 국제유가의 반등을 계기로 시장에 복귀해 생산량을 하루 41만2천 배럴 가량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국의 원유 수출도 올해 들어 하루 100만 배럴 이상으로 폭증했다.


관측통들은 사우디가 성장 잠재력이 큰 아시아에 주력하면서 자연히 대미 수출이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가 아시아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어 이 시장을 지키기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사우디는 중국 시장에서도 러시아에 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우디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2015년에는 15%였으나 지난해에는 13%로 내려갔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사우디는 유럽의 주요 고객들인 프랑스와 스페인, 이탈리아에서도 OPEC 회원국인 이란과 이라크에 원유 시장을 잠식당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의 사우디산 원유 수입은 OPEC의 감산이 발표되기 이전부터 뚜렷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들 3개국에 대한 사우디의 수출량은 지난해 7월부터 10월 사이에 11%가 떨어졌다.


유조선 정보를 제공하는 클리퍼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유럽에 대한 이란의 원유 선적 물량은 8월과 비교해 45%나 늘어난 것으로 돼 있다.


러시아는 OPEC 회원국이 아니면서도 OPEC의 감산 합의를 지지했지만, 구소련 붕괴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생산량을 크게 늘렸다.


OPEC 내 2위의 산유국인 이라크도 감산 합의를 외면하고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수준의 생산량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이란은 국제제재 해제라는 특수한 사정이 고려돼 일정 물량의 증산이 허용돼 있다.


사우디가 이처럼 시장 곳곳에서 후퇴하고 있는 것은 정부의 재정 압박과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기업공개를 위해 고유가를 유도해야 하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우디는 지난 수년간 고유가 보다 시장 점유율을 우선시했다. 이에 따라 2014년 유가가 폭락했을 때도 OPEC의 감산 노력에 반대는 입장을 취했고 2년 전에는 미국의 셰일 석유회사들과 경쟁하기 위해 증산을 고집했었다.


사우디의 최근 산유량은 지난해 10월보다 하루 80만 배럴이 줄어든 수준이다. 이는 OPEC에 약속한 감산 폭보다 60%나 많은 것이어서 사우디가 유가 안정을 얼마나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드러낸다.




WSJ은 사우디가 이처럼 주춤거리는 동안 이란과 러시아, 미국 등의 경쟁국들이 부상하는 방향으로 석유시장의 지형도가 재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사우디는 주도적 산유국으로서 언제든 유가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나라의 현재 산유량은 감산 약속을 지키는데도 여전히 하루 200만 배럴에 이른다. 이는 마음만 먹으면 생산량을 신속히 조절할 능력이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서울=연합뉴스) 문정식 기자jsmoon@yna.co.kr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