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올해 노후 상하수도 정비 등 4조607억원 투자
안전한 먹는물 공급
하수도 위생·안전 서비스 개선
올해 상하수도 분야에 총 4조607억원이 투입된다.
노후 상수도 교체작업 모습. 출처 waterjournal.co.kr
edited by kcontents
환경부는 노후 상하수도 정비·물산업 클러스터 조성·오염토양 정화 등 상하수도 분야에 국고 2조6천325억원과 지방비 1조4천282억원 등 총 4조607억원을 투자한다고 16일 밝혔다.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총 예산의 50% 이상이 상반기에 조기 집행된다.
환경부는 2017년 상하수도 분야 주요 정책과제로 안전한 먹는물 공급, 하수도 위생·안전 서비스 개선, 물산업 육성, 지속가능한 토양관리 등을 선정하고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안전한 먹는물 공급
먹는물 인프라 개선, 수돗물 수질 감시 강화 등을 통해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먹는물을 공급한다.
총 58곳의 한강·낙동강 수계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비율을 지난해 56.9%에서 올해 60.3%로 높이고,농어촌 지역 상수도 보급률 80%를 달성할 계획이다.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올해 5월 녹조 대비 사전 모의 훈련과 정수장 기술지원을 실시한다. 소독부산물(총트리할로메탄 등) 저감 효과가 우수한 정수장 운영 사례를 발굴해 전국 정수장에 적용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28개(아민류 2개 추가)를 모니터링하고, 전국 70개 정수장에서 총 60개 화학물질을 신규로 검사하는 등 수돗물 중 미량 유해물질 감시를 확대한다.
올해 시작될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의 2017년도 22개 선도사업(745km·국고 512억 원)이 연내 착공된다.
한국환경공단은 작년 말 선도사업 지방자치단체와 위탁 계약을 체결하고 설계 착수 준비를 마쳤다.
노후 하수관로 파손 모습. 싱크홀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출처 이데일리
edited by kcontents
하수도 위생·안전 서비스 개선
하수도 인프라 확충 이외에 다양한 하수도 서비스 요구에 충실히 대응하면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노후 하수관로에 따른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해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2015년부터 작년까지의 전국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기 노후 하수관로 정비 계획을 3월 수립한다.
파손·결함이 심각한 하수관로(500km·2천310억원)를 정비한다.
침수 우려지역 10곳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고 침수예방 하수도 정비사업을 추진한다.
정화조·하수도를 대상으로 악취저감사업을 벌여 생활주변 하수도 악취를 저감시킨다.
환경부와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지진에 대비해 9월 중 전국 상하수도 시설을 대상으로 내진성능을 조사·평가한다. 중요도·시급성 등을 고려해 보강계획을 만든다.
물산업 육성
국내 물산업 육성의 전초 기지로 대구 물산업클러스터를 차질없이 조성한다.
지난해 11월 착공한 대구 물산업클러스터 조성공사를 차질없이 진행한다. 2018년 완공될 예정이다.
총 사업비 2천335억원이 투입될 이 클러스터에는 물융합연구동, 워터캠퍼스, 글로벌비지니스센터, 실증화시설 등이 들어선다.
지난해 11월 수립된 '스마트 물산업 육성전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반기 '물산업진흥법'을 제정하고, 세부이행 계획을 수립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협조해 '물시장 맞춤형 상하수도 혁신 연구개발' 예비타당성 조사에 적극 대응한다.
지속가능한 토양환경관리
대규모 오염 토양 정화와 토양오염 우려지역 관리를 계속 추진하는 한편 토양·지하수환경 관리제도를 정비한다.
충남 서천군 옛 장항제련소 주변지역 가운데 매입구역(반경 1.5km 이내)에서 정화활동을 계속 한다.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 주변 오염지역도 관리한다.
지난해 말부터 계속되고 있는 대규모 Al(조류인플루엔자) 매몰지 주변의 지하수 관정을 계속 조사하고, 상수도 미보급지역 등을 조사해 침출수 유출 등에 따른 2차 오염을 예방한다.
환경부는 노후 상하수도 정비·물산업 클러스터 조성·오염토양 정화 등 상하수도 분야에 국고 2조6천325억원과 지방비 1조4천282억원 등 총 4조607억원을 투자한다고 16일 밝혔다.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총 예산의 50% 이상이 상반기에 조기 집행된다.
환경부는 2017년 상하수도 분야 주요 정책과제로 안전한 먹는물 공급, 하수도 위생·안전 서비스 개선, 물산업 육성, 지속가능한 토양관리 등을 선정하고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안전한 먹는물 공급
먹는물 인프라 개선, 수돗물 수질 감시 강화 등을 통해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먹는물을 공급한다.
총 58곳의 한강·낙동강 수계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비율을 지난해 56.9%에서 올해 60.3%로 높이고,농어촌 지역 상수도 보급률 80%를 달성할 계획이다.
고도정수처리 프로세스. 출처 서울시
edited by kcontents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올해 5월 녹조 대비 사전 모의 훈련과 정수장 기술지원을 실시한다. 소독부산물(총트리할로메탄 등) 저감 효과가 우수한 정수장 운영 사례를 발굴해 전국 정수장에 적용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28개(아민류 2개 추가)를 모니터링하고, 전국 70개 정수장에서 총 60개 화학물질을 신규로 검사하는 등 수돗물 중 미량 유해물질 감시를 확대한다.
올해 시작될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의 2017년도 22개 선도사업(745km·국고 512억 원)이 연내 착공된다.
한국환경공단은 작년 말 선도사업 지방자치단체와 위탁 계약을 체결하고 설계 착수 준비를 마쳤다.
하수도 위생·안전 서비스 개선
하수도 인프라 확충 이외에 다양한 하수도 서비스 요구에 충실히 대응하면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노후 하수관로에 따른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해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2015년부터 작년까지의 전국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기 노후 하수관로 정비 계획을 3월 수립한다.
파손·결함이 심각한 하수관로(500km·2천310억원)를 정비한다.
침수 우려지역 10곳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고 침수예방 하수도 정비사업을 추진한다.
정화조·하수도를 대상으로 악취저감사업을 벌여 생활주변 하수도 악취를 저감시킨다.
환경부와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지진에 대비해 9월 중 전국 상하수도 시설을 대상으로 내진성능을 조사·평가한다. 중요도·시급성 등을 고려해 보강계획을 만든다.
물산업 육성
국내 물산업 육성의 전초 기지로 대구 물산업클러스터를 차질없이 조성한다.
지난해 11월 착공한 대구 물산업클러스터 조성공사를 차질없이 진행한다. 2018년 완공될 예정이다.
총 사업비 2천335억원이 투입될 이 클러스터에는 물융합연구동, 워터캠퍼스, 글로벌비지니스센터, 실증화시설 등이 들어선다.
지난해 11월 수립된 '스마트 물산업 육성전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반기 '물산업진흥법'을 제정하고, 세부이행 계획을 수립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협조해 '물시장 맞춤형 상하수도 혁신 연구개발' 예비타당성 조사에 적극 대응한다.
지속가능한 토양환경관리
대규모 오염 토양 정화와 토양오염 우려지역 관리를 계속 추진하는 한편 토양·지하수환경 관리제도를 정비한다.
충남 서천군 옛 장항제련소 주변지역 가운데 매입구역(반경 1.5km 이내)에서 정화활동을 계속 한다.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 주변 오염지역도 관리한다.
지난해 말부터 계속되고 있는 대규모 Al(조류인플루엔자) 매몰지 주변의 지하수 관정을 계속 조사하고, 상수도 미보급지역 등을 조사해 침출수 유출 등에 따른 2차 오염을 예방한다.
(세종=연합뉴스) 전준상 기자chunjs@yna.co.kr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