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 '소비절벽' 현실화
내수침체 심화 전망
물가, 금리 서민가계 압박
내년 상반기에 '소비절벽'이 현실화되면서 내수침체가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출처 아시아타임즈
edited by kcontents
내년도 우리나라의 경제는 성장률이 올해보다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물가와 금리는 올라 서민가계를 압박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벌써부터 소비심리가 크게 움츠러들고 있기 때문이다.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도 내년엔 소비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로인해 12월의 소비심리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때와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얼어붙은 소비심리… 물가는 '쭉쭉'
현재 내수시장 소비심리는 꽁꽁 얼어붙은 모습이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4.2로 11월(95.8)보다 1.6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4월(94.2)와 같은 수준으로, 7년 8개월 만에 최저치다.
CCSI가 기준선(2003∼2015년 평균치)인 100을 넘지 못하면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또한 12월 소비지출전망지수는 103으로 전월에 비해 3포인트 떨어졌고, 현재생활형편지수도 지난달에 비해 1포인트 하락한 89를 기록했다. 소비지출 전망이나 현재생활형편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반면 물가는 계속 오를 전망이다.
물가수준전망지수는 지난달에 비해 3포인트 오른 141로 나와 1년 후에는 지금보다 물가가 더욱 오를 것으로 보는 시각이 증가했다.
게다가 내년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와 국제유가 상승이 글로벌 물가상승을 자극하고 이는 그대로 국내물가 상승을 압박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원유감산에 합의한 데 이어 러시아 등 비OPEC까지 원유감산에 동참하면서 국제유가가 내년부터 본격 상승세를 탈 전망이다.
지난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53.02달러로 약 1년5개월여 만에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다.
한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산유국들이 합의한대로 1월부터 감산이 이행되면 국제유가가 상승해 국내 기름값 상승과 함께 소비재 상승에도 반영될 수 있다"면서 "국제 유가상승이 결국 내년도 가계 소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소비자 물가에도 반영되는데 휘발유(가중치 25.1), 경유(14.5)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들어가는 460개 품목(총 가중치 1000)중 비중이 높은 편에 속한다.
올해 1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99.90(잠정치)으로 10월(99.52)보다 0.4% 올라 작년 9월(100.33) 이후 1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대외불확실성 확대… 가계소득·금리안정화 대책 필요
전문가들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 시중금리 급등세가 소비심리 위축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연준이 올 연말에 이어 내년 3번의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하면서 금융시장 내 불확실성을 확대시켰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국이 내년 재정지출 확대를 위해 국채 발행을 늘릴 경우 시장금리도 폭등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이미 국내 시중금리는 이러한 심리가 반영되면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22일 임시국회에 제출한 현안보고서에 따르면 11월 중 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3.08%에서 3.21%로 한 달 만에 13bp(1bp=0.01%포인트) 상승했다.
현재 가계부채는 연말까지 1300조원을 넘어설 것이 확실시 되는 상황이다. 그런데 미국 금리의 상승으로 시중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전체 가계가 추가로 부담하는 이자 규모는 연간 약 9조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 등에서 대출을 받은 가계들은 빚을 갚느라 소비여력이 더욱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전성인 홍익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내년에 FOMC가 금리를 인상해 국내 시중금리가 상승한다면 너무 많은 빚을 지고 있는 가계는 소비동력을 잃을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 교수는 "게다가 내년에 부동산 가격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내수침체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명목 임금을 올려 가계의 수입을 증가시키거나 금리 안정화 정책을 통해 시장의 실세금리를 안정화 시켜야 한다고 전문가들을 강조했다.
"정부의 '조기추경'도 내수시장에 악영향 우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2017년 성장률을 2.6%로 전망했다. 국내 경제연구원들도 별반 다르지 않다. 산업연구원은 2.5%, 한국은행2.8%, 한국개발연구원(KDI) 2.7%, LG경제연구원 2.2% 등도 모두 내년 한국경제가 2%대의 저성장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현대경제연구원은 '2017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정치 리스크의 경제 리스크화' 보고서에서 내수 회복에 중요한 국내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정치적 리스크의 영향으로 인해 더욱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소비심리의 냉각은 심각한 수준이어서 내년에도 내수침체를 피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또한 "최근 관리 중심으로 선회되고 있는 부동산 대책 시행으로 한국 경제를 버텨왔던 건설경기의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도 내수경기의 회복을 장담하지 못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저성장에 따라 기업의 투자가 줄고 소득이 줄어든 가계가 소비를 줄일 경우 심각한 내수 침체가 우려된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게다가 최근 정치권에서 '성장절벽'을 막기 위해 논의되고 있는 '내년 2월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오히려 소비시장을 위축시킬 수 잇다는 지적이 나온다. 추경으로 재정지출이 확대되면 시장에 돈을 풀리면서 경기가 부양되는 효과가 있지만 심각한 가계부채가 오히려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지난 23일 내년 예산안을 1분기에 30% 이상 조기 집행하고 상반기에 전체 예산의 60% 이상을 사용키로 합의했다. 또한 내년 2월까지 추경편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키로 했다.
그러나 대규모 재정확장정책은 채권금리 상승을 불러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추경 편성을 위해 대규모 국채를 발행할 경우 국채가격 하락(국채금리 상승)으로 인해 시장금리가 상승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미국도 도널드 트럼프 당선자의 재정지출 확대 공약으로 국채발행 증가와 인플레이션 유발 전망으로 채권금리가 급속도로 상승하기도 했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추경을 위해 국채를 발행하게 되면 시장금리상승과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가계부채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결국 가계의 소비여력은 줄어들면서 내년 상반기 내수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남석 기자 lns@asiatime.co.kr [아시아타임즈]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