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LNG복합화력발전소 준공 앞둔 대우건설의 고민
전력 수요 줄어 가동률 뚝,
수익성 직격탄
착공 당시와 상황 반대
내년 2월 포천LNG복합화력발전소 준공을 앞두고 대우건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준공을 앞둔 포천LNG복합화력발전소 조감도
edited by kcontents
착공 당시만 해도 매년 전력량이 급증하면서 민자LNG발전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경기침체로 전력 수요가 줄어들면서 LNG발전소의 가동률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박을 기대하고 민자 LNG발전소를 만들었던 대기업은 언제 그랬냐는 듯 서둘러 발을 빼고 있다.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이 공사도급계약(EPC)을 맡은 포천LNG복합화력발전소가 내년 2월 준공한다. 총 용량 947MW급 발전설비 1기로 구성됐다. 사업 시행사는 포천민자발전으로 최대주주는 지분 53%를 보유한 KIAMCO 파워에너지 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제3호다. 이어 대우건설 42%, 도원이엔씨 5% 순이다.
총 사업비는 9732억 원으로 자기자본(주식) 1946억 원, 대출 7786억 원으로 구성됐다. 이중 공사 도급액은 6997억 원이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주단은 산업은행 등 16개 금융회사로 이뤄졌다. 대우건설은 주식 형태로 801억 원을 투자했다.
포천민자발전은 생산전력을 한국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전력시장에 판매해 수익을 올린다. 문제는 포천민자발전이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한 2013년과 현재 전력시장이 크게 다르다는 점이다. 전력난이 극심했던 2012년 8월에는 전력공급이 7708만kw로 최대 수요(7429만kw)를 감안하면 전력 예비율이 3.8%에 불과했다.
clip20161128153400
이후 다급해진 정부가 포천민자발전을 포함해 다수의 민자발전소 설립을 허가하면서 전력공급은 올해 8월 9239만kw까지 늘어났다. 4년 전과 비교하면 19.8% 증가한 것이다. 반면 경제난으로 최대 수요는 9518만kw를 기록, 같은 기간 14.6% 늘어나는데 그쳤다. 전력 예비율은 8.5%다.
전력이 남아돌면서 LNG발전소는 직격탄을 맞았다. 국내 전력시장은 발전 원가가 낮은 원자력과 석탄이 기저발전 역할을 하고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 LNG발전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즉, 현재처럼 전력 예비율이 충분하다면 굳이 LNG발전소를 가동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올해 상반기 LNG발전소 가동률은 36%에 불과했다.
포천민자발전 입장에서 희망적인 부분은 LNG발전소별로 가동률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전력거래소는 발전 원가가 낮은 발전소의 전력부터 구매를 한다. 전력을 공급하는 순위, 즉 급전 순위가 중요하다. 최근 운영을 시작한 LNG발전소일수록 효율이 높아 급전순위가 올라간다.
최근에 지어진 곳은 지난해 3월 운영을 시작한 동두천드림파워다. 그 다음이 2014년 12월 운영을 개시한 대구그린파워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동두천드림파워와 대구그린파워의 가동률은 6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발전소 근처에 대단위 산업단지가 위치할 경우에도 가동률이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급전순위가 높다고 수익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다. 동두천드림파워는 올해 9월 말 기준 당기순손실 415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에도 245억 원의 손실을 봤다. 대구그린파워 역시 2014년 당기순손실 73억 원을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당기순이익 186억 원으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전문가들은 가동률만으로 LNG발전소의 손익을 예상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IB업계 관계자는 "LNG 가격 수준, 회사 운영비용, 용량요금 인상 폭 등도 LNG발전소 재무제표에 영향을 미친다"며 "용량이 큰 발전소일수록 연간 감가상각 비용이 커서 영업이익 흑자를 내고도 당기순손실이 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대우건설 입장에서는 포천민자발전이 손실을 봐도 직접적인 타격을 입지는 않는다. 지분법 손실로 인식될 뿐이다. 다만 적자 폭이 커질 경우 대우건설이 유상증자 혹은 후순위 대출 등의 형태로 추가 자금지원을 할 수 있다.
이상균 기자 더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