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기'는 다가오는데..." 철도 파업으로 골병드는 건설업계 피해 가중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노조 51일째 파업

동절기 공사 중지로 가능한 많은 물량 시공해야

시멘트 생산·출하 차질로 520억 원 피해

부실시공 요인 증가도 


  "건설현장에서 요구하는 시멘트 물량을 맞추기 어렵다."(시멘트사 관계자)

"철도파업이 장기화될수록 공사 중단 우려는 커지고 있다."(건설사 관계자)


충북 제천시 천남동 코레일 충북본부 조차장에 시멘트 등을 수송하는 화물열차가 서 있다. 사진/뉴시스

edited by kcontents 


16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노조가 51일째 파업을 이어가면서 시멘트업계와 건설업계의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시멘트업계는 철도파업으로 연중 최대 성수기인 3~4분기 시멘트 생산·출하에 차질을 빚고 있다. 수송 차질에 따른 미판매 손실금액과 대체수송운임 증가 등으로 현재까지 피해금만 약 520억 원으로 추산된다. 


파업 이후 시멘트의 철도수송 차질 물량은 65만t을 넘어섰다. 육로대체수송을 감안하더라도 현재 하루 1만~1만5000t의 출하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주연료인 유연탄과 슬래그 등 부자재 수송도 거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수도권 철도역 저장기지의 재고는 지난달 24일부터 바닥을 드러냈다. 


업계 관계자는 "시멘트 물량이 줄면서 저장기지로 들어오는 대로 나가고 있다"며 "건설현장에서 요구하는 물량의 절반 수준밖에 공급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파업기간 시멘트업계는 공급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육로대체운송에 따른 추가비용을 감수하면서 시멘트수송에 나서더라도 수급 차질과 매출 피해는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철도는 시멘트 등 대용량 화물 운송이 가능한 필수 교통수단이다. 철도로 운송되는 화물은 컨테이너가 약 29%, 시멘트가 약 21%다. 하지만 철도파업으로 화물열차의 운행률은 15일 기준 평시 대비 44.8%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철도가 화물 운송의 제 역할을 못하면서 건설현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건설업계는 올해 분양시장의 호황으로 아파트 신축현장이 늘면서 시멘트 등 자재 수급이 제때 필요한 상황이다. 겨울을 앞두고 막바지 레미콘 타설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건설사들은 선발주한 물량으로 버티거나 레미콘 타설 등 골조공사 대신 터파기 등 토목공사부터 우선 진행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앞선 화물연대의 파업과 끝날 조짐이 없는 철도파업으로 한계에 봉착했다. 


A건설사 관계자는 "철도파업이 장기화되면서 매주 자재 공급 때문에 회의를 하고 있다"며 "본사가 헤드쿼터 역할을 하면서 시멘트 공정 한 두달 전부터 미리 주문을 하거나 현금 결제로 빠른 납품을 유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건 소비자와 건설사 모두 감내할 수 없는 리스크다. 차라리 자재값을 더주고라도 공사를 진행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B건설사 관계자는 "대형건설사의 경우 지역별로 공사현장이 있기 때문에 물량이 시급한 사업장에 우선 공급하는 방식으로 근근이 버텼다. 아직까지 공사기간이 연장되거나 중단되는 사태는 없었지만 앞으로가 문제"라며 "파업이 장기화될수록 규모가 작은 건설사부터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정부와 철도공사는 대체인력 확충, 정규직 채용 등 추가 인력을 확보해 열차운행을 최대한 정상화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철도노조 측에 오는 17일 수학능력시험에 앞서 현업 복귀를 촉구했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관계부처 합동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평생직장을 보장받는 공기업 노조가 국민의 안전 위협과 물류 피해에도 아랑곳 않고 명분 없는 파업을 지속하는 것은 용납되기 어려운 일"이라며 "하루빨리 현업으로 복귀한 후 노사 간 지속적인 협상과 대화를 통해 해법을 찾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철도노조는 "성과연봉제 도입은 전경련을 비롯한 재벌의 요구에 의한 검은 거래라는 의혹이 특검 등을 통해 밝혀질 것"이라면서 "수능을 앞두고 국민피해가 우려된다면, 지금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중고생들과 학부모들의 마음을 헤아려 정부가 결단해야 한다"고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odong85@newsis.com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