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로 표지병 등 안전시설, 난폭운전으로 매년 수천개씩 망가져
성중기 서울시의원
도로표지병(반사경)과 시선유도봉 등
자체가 교통사고 유발요인은 아니나
파손된 경우 사고 발생 사례도 있어
"내구성 높은 제품 설치하고 관리 철저히 해야"
캄캄한 밤이나 악천후에도 운전자가 차선을 따라 안전하게 달릴 수 있도록 도로에 설치하는 도로표지병(반사경)과 시선유도봉이 서울에서 매년 수천개씩 망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훼손된 도로표지병 출처 연합뉴스
도로표지병은 야간이나 우천 시 교통사고율이 높은 도로, 도로선형이 급격히
변화하는 도로 등, 눂은 시인성을 요구하는 도로에 차선과 함께 설치한다
표지병의 형태
edited by kcontents
서울시가 성중기 서울시의원(새누리당·강남1)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올해(1∼8월)까지 서울에서 파손된 도로표지병은 모두 1만 2천735개, 시선유도봉은 1만 910개로 집계됐다.
도로표지병은 2014년 4천372개, 2015년 2천219개, 올해 6천144개 등 총 1만 2천735개가 파손됐다. 시선유도봉은 2014년 3천190개, 작년 4천279개, 올해 3천441개 등 모두 1만 910개가 망가졌다.
도로표지병과 시선유도봉은 야간이나 궂은 날씨에도 도로에 설치된 차선을 보완해 운전자의 시선을 명확히 유도해 교통안전을 도모하려 설치하는 시설물이다. 국토교통부는 예규를 통해 이 같은 도로 안전을 위한 시선유도시설을 설치·관리하도록 한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와 6개 도로사업소에 이런 시설물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도로표지병은 대부분 도로 중앙선에 심겨 있고, 시선유도봉은 중앙분리대 시작·끝 부분과 교각·교대 주위에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해 설치한다.
매년 수천개의 도로표지병과 시선유도봉이 파손된다는 것은 중앙선을 밟거나 넘는 차량이 많고, 시선유도봉을 칠 정도로 위험한 운전을 하는 운전자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손된 도로표지병과 시선유도봉을 복구하는데 든 비용은 2014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4억 1천942만원이다. 도로표지병 복구에 1억 1천838만원, 시선유도봉 복구에 3억 104만원이 사용됐다.
서울시 집계에 따르면 도로표지병이나 시선유도봉 때문에 교통사고가 일어난 경우는 없었다.
그러나 도로표지병과 시선유도봉이 파손돼 도로를 뒹굴다 교통사고를 일으키거나 차량이 파손된 경우는 11건 있었다.
도로표지병으로 인한 사고는 2014년 2건, 작년 4건, 올해 4건 등 총 10건이고, 시선유도봉으로 인한 사고는 2014년에만 1건 있었다.
서울시가 이런 사고로 차량 운전자에게 배상한 금액은 643만원이었다.
성중기 의원은 "도로 안전을 위해 설치한 도로표지병과 시선유도봉이지만, 파손돼 도로에 방치되면 안전을 위협하는 만큼, 접착형 도로표지병 등 내구성이 높은 제품을 설치하고 관리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dkkim@yna.co.kr
k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