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00조 아시아 인프라시장 열린다


'글로벌 3대 신평사'에 도전 

다궁글로벌 관젠중 회장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 정책

아시아 60개국 고속철도 등 인프라 연결

신 실크로드 가시화


한국, 비교우위  산업 참여 방법 찾아야

건설·전자·의료 참여기회 

채권 참여 기대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전략인 ‘일대일로(一帶一路)’가 가시화하면 최대 9000조원 규모의 아시아 인프라시장이 열릴 겁니다. 한국 기업과 기관투자가들은 이 기회를 잡아야 합니다.”


출처 etnews.com

edited by kcontents 


중국 유일의 국제신용평가사인 ‘다궁(大公)글로벌신용평가’의 관젠중 회장(62·사진)은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한국경제신문과 한 인터뷰에서 “한국 기업은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활용한 사업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며 이렇게 강조했다.


관 회장은 중국 신용평가업계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1994년 다궁을 설립해 중국 기업 신용평가시장의 문을 열었다. 다궁은 청신, 롄허와 함께 중국 신용평가시장을 삼등분하고 있다. 이 중 유일하게 글로벌 신용평가시장에 진출해 무디스 피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의 아성에 도전하고 있다.


다궁글로벌 관젠중 회장


“일대일로, 국민연금 등에 기회”

관 회장은 일대일로와 연계한 아시아 지역 내 자금조달과 글로벌 신용평가체계 혁신에 대한 구상을 한국 정부와 논의하기 위해 지난주 한국을 방문했다. 그는 “일대일로의 본질은 상호 연계”라고 설명했다.


일대일로 중국 중서부, 중앙아시아, 유럽을 잇는 육상실크로드(일대)와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에 이르는 바닷길을 연결하는 해상실크로드(일로)를 묶는 아시아 경제 공동체를 건설한다는 구상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3년 카자흐스탄 방문 때 처음 주창했다. 아시아 60여개국에서 고속철도 등 교통망 연결, 대규모 물류허브 건설, 에너지 기반시설 연결, 참여국 간 금융네트워크 구축 등을 목표로 다양한 프로젝트가 준비 중이다. 아시아개발은행(ADB)에 따르면 아시아 인프라시장 규모는 최대 8조2000억달러에 이른다.


관 회장은 “60여개국이 경제발전을 꾀하려는 과정에서 인프라 구축사업이 아시아 전체로 확대될 것”이라고 봤다. 그는 “인프라 건설에는 자본의 유동성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며 “중국 정부와 아시아 각국이 일대일로 사업에 사용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조성할 ‘실크로드 채권’이 그 수단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부분을 집중 공략해야 한다는 게 그의 조언이다. 관 회장은 “일대일로 참여 국가가 벌이는 다양한 프로젝트에 한국은 비교우위를 지닌 산업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참여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건설 전자 의료 등 분야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아시아 개발도상국에 항만 공항 의료원 등을 세울 경우 한국 건설회사가 공사를 맡고, 한국 정보기술(IT)업체가 시스템통합(SI)망을 구축하며, 한국 의료법인이 의료원을 운영하는 식이다. 그는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금의 근간이 될 실크로드 채권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국민연금 등 한국 기관투자가들의 역할도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국 기업, 중국에서 리스크 관리해야”

관 회장은 중국에서 사업하는 한국 기업은 핵심 경쟁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사업 리스크를 예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몇 년간 일부 중국 기업 사이에서 채무불이행(디폴트)이 발생하기도 했다”며 “중국에서 사업하는 한국 기업은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신용평가체계 개혁도 주요 화두로 제시했다. “무디스 등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의 평가방식을 개혁해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관 회장은 러시아 등 주요국 신평사들이 참여한 유니버설크레디트레이팅그룹(UCRG)의 설립을 주도하기도 했다. 그는 “글로벌 3대 신평사의 평가에는 미국 등 서방의 정치 이데올로기가 작용하고 있다”며 “2008년 미국 금융위기 때 이미 3대 신용평가 시스템의 문제점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서기열/이유정 기자 philos@hankyung.com 한국경제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