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구 절벽' 코앞... "건설·자동차 타격"
30∼50대 생산가능인구
내년부터 감소세 "전환"
포스코경영硏 韓·日 '인구절벽' 영향 분석
"인구-신규주택·신차 추이 비례"
"일본 전철 그대로 밟아"
한국의 생산가능인구가 내년부터 감소세로 전환하는 '인구 절벽'을 코앞에 둔 가운데 철강소비와 건설·자동차·가전 등 수요산업이 줄줄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출처 hhiun.or.kr
edited by kcontents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은 아파트, 자동차의 주된 소비층인 30∼50대가 줄어든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포스코경영연구원 동향분석센터 정철호 수석연구원은 1일 '철강산업에 다가오는 인구절벽 충격-고령화 선진국 경험과 미래 인구전망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생산인구의 변동은 철강소비와 자동차·건설 등 수요산업 추이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인구절벽을 경험한 일본의 경우 생산가능인구는 1996년부터, 총인구는 2010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5년 기준 일본의 노인 인구 비중은 26.3%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일본의 생산인구 감소는 철강 및 철강수요산업에 상당한 충격을 줬다.
지난해 일본의 철강소비는 생산가능인구가 정점으로 찍었던 1995년의 81% 수준으로 떨어졌다.
신규주택건설 착공과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도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정점을 찍은 시기(1992년) 즈음해서 고점에 올랐다가 함께 떨어지는 추이를 드러냈다.
일본의 건설수요와 생산가능인구(左) 및 일본의 자동차 수요와 생산가능인구(右)
문제는 우리나라가 일본의 전철을 그대로 밟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철강소비는 2008년 6천101만1천t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로는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소비량은 5천835만4천t이었다.
조강(가공되지 않은 강철)생산량은 2014년 7천154만2천t으로 고점을 기록한 후 2015년 6천976만t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수요산업 중에는 철강소비 비중이 42.4%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건설업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 철강소비와 생산가능인구
자동차(철강소비 비중 18.5%), 일반기계(7.5%), 가전(6.5%), 금속제품(6.5%) 등 산업도 타격이 예상된다.
실제로 자동차 생산은 2011년 461만7천대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450만대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으며 가전이나 일반기계도 부진한 상황이다. 조선산업은 극심한 수주난으로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건설투자는 정부의 부동산 경기 부양책과 공공투자 확대에 따라 비교적 호조세지만, 가계부채 부담과 생산인구의 감소 등의 영향으로 더는 큰 폭의 증가세를 기대하기 어렵다.
결국 한국도 일본처럼 인구절벽을 만나면서 전반적인 산업이 벼랑 끝에 몰린 셈이다.
정 수석연구원은 "인구 측면에서 볼 때 국내와 세계 철강수요의 중장기 전망은 상당히 어둡다"며 "인구절벽 충격에 대비하기 위한 '철강사업 장기 생존플랜'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인구구조 변화 추세에 대응한 로봇, 바이오 등 미래 신사업 기회를 검토하고, 베이비붐 세대의 대거 퇴직에 대비해 기술 노하우를 전수해 놓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eun@yna.co.kr
k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