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ww.freecolumn.co.kr
나무는 뿌리의 힘으로 자란다
2016.08.02
텔레비전 프로나 인터넷 등에서 보면 야생동물이 집에서 키우는 가축처럼 사람을 따르는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 산에 사는 노루가 강아지처럼 주인을 졸졸 따라다니는가 하면, 까치나 청둥오리가 밥상 옆에서 밥을 먹기도 합니다. 학자들은 모든 동물들은 어렸을 때 돌봐준 사람을 어미로 각인하고 있기 때문에 일어 날 수 있는 현상이라고 합니다.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말도 그러한 맥락에서 보면 결코 터무니가 없는 말만은 아닐 겁니다. 그래서 예전에는 밥상머리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저도 어렸을 때 아버님으로부터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기억이 납니다.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이 나는 말씀은, 어른이 밥수저를 들기 전에는 먼저 들지 마라. 밥은 절대로 남기지 마라. 어른이 밥 수저를 내려놓은 다음에야 밥상 앞에서 물러나라, 라는 말씀입니다. 그 밖에도 반찬을 뒤적거리지 마라, 반찬투정을 하지 마라, 밥알을 흘리지 마라는 등 몇 가지가 더 있는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요즈음 가족은 가장이 밥상머리 교육을 시키지도 않고 시킬 수도 없습니다. 언제부터인지 아이들에 대한 교육의 권한은 어머니 쪽으로 옮겨갔습니다. 가장이 교육을 시키고 싶어도 가족과 함께 밥을 먹을 시간이 부족한 탓에 그럴 여유가 없습니다.밥상머리 교육이 실종된 요즈음 어느 집안의 식사시간 풍경을 그려보겠습니다. 가장인 아버지는 새벽에 우유 한 잔, 혹은 토스트 한 조각을 먹고 출근을 했습니다. 늦게 일어난 어머니는 아이의 기호에 맞는 반찬으로 아침상을 차립니다.햄버거나 피자 치킨의 맛에 길들여진 아이는 어머니의 건강식 반찬이 입에 맞을 리가 없습니다. 아이는 밥을 먹으려 들지 않습니다. 어머니는 직접 밥을 퍼서, 한 수저만 먹으라고 사정을 합니다. 겨우 한 수저를 먹은 아이는 밥상을 떠나서 장난감을 가지고 놀거나 스마트폰을 들고 만지작거립니다.어머니는 밥그릇을 들고 아이를 따라 다니며 요것만 먹으면 나중에 아이스크림을 사줄게, 요것만 먹으면 어린이집 다녀와서 뽀로로파크에 데려가 줄게, 갖은 감언이설로 사정을 하며 밥을 먹입니다.밥상머리 교육을 받지 않은 아이는 편식에 길들여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편식에 길들여진 아이가 학교의 건강식급식은 고역입니다. 김치며 시금치며 콩나물 멸치 몸에 좋다는 콩밥이며 두부반찬이 입에 맞을 리 없습니다. 소시지나 햄 고기 종류만 가려 먹고 나머지는 잔밥통에 비워버립니다.이때 학교에서 뒤늦게나마 김치가 우리 몸에 얼마나 좋은지, 편식을 하면 건강에 얼마나 안 좋은지를 교육하면 아이의 인성은 달라집니다. 하지만 학교는 아이의 입맛과 타협을 해서 건강식보다는 인스턴트 식단 쪽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교육현실입니다.밥상머리 교육은 단순히 음식을 먹는 법을 배우는 교육이 아닙니다. 내가 하기 싫은 것도 해야 하는 것, 내가 먹고 싶어도 참아야 하고, 먹기 싫어도 먹어야 하는 것을 은연중에 학습시키는 교육입니다. 그것은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양보정신과 질서 정신을 배우는 것이기도 합니다.사회는 먹고 싶은 음식만 먹을 수 있고, 하고 싶은 일만 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지 않습니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어렸을 때부터 입맛에 맞는 음식만 먹은 사람이 사회생활을 하려면 수많은 스트레스 늪에 빠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과도한 스트레스는 분노조절기능을 하는 뇌의 기능을 쉽게 저하시킵니다. 요즈음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분노조절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유난히 많아진 것도 핵가족화로 인한 밥상머리 교육의 부재와 전혀 연관이 없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밥상머리교육은 어른에게는 양보를 하고, 밥을 먹을 때는 순서를 기다려야 한다는 양보와 질서입니다. 양보와 질서를 모른다는 것은 정체성이 없다는 말로 대변될 수가 있습니다. 정체성이 없다는 것은 근본이 없다는 말과 같습니다.근본이 약한 사회는 자기주장만 펼치다 보니 혼란스럽습니다. 혼란스러운 사회는 뿌리가 약한 나무처럼 외세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무너집니다. 우리의 역사를 보면 가깝게는 일제 강점기부터 시작해서, 임진왜란 등 나라가 외세의 침략을 받을 때마다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운 사회였다는 점이 그것을 증명해 주고 있습니다.
* 이 칼럼은 필자 개인의 의견입니다. 이 칼럼을 필자와 자유칼럼그룹의 동의 없이 상업적 매체에 전재하거나, 영리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필자소개
한만수
1990년부터 전업으로 소설을 쓰고 있음. 실천문학 장편소설 “하루” 등단. 대하장편소설 “금강” 전 15권 외 150여권 출간. 월간 "한국시" '억새풀' 등단 .시집 “백수블루스”외 5권 출간. 이무영문학상 수상
Copyright ⓒ 2006 자유칼럼그룹.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freecolum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