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전, 지진 걱정안해도 된다
1978년 이후
규모 5.0 이상 지진발생 빈도 7회 불과
일본, 3천300회 이상
철저한 내진설계
지진 감지, 원자로 자동 정지
해일·연료손상 등 최악 시나리오까지 대비
지난 5일 울산 동구 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원전의 지진 대비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edited by kcontents
울산 지진 이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번 지진의 진앙지로부터 거리가 51km로 가장 가까운 월성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지진값이 0.0144g로 관측돼 설계기준인 0.2g에 못 미쳐 원전 운영에 영향이 없었다”고 발표했다.
또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지진으로 인해 인접한 월성원전은 물론 전국의 원전은 영향 없이 정상운전 중에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후에도 환경단체나 지역주민 등은 원전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을 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한국은 지질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아 지진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지진 강도도 높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국민들은 작은 지진이라도 자주 일어나면 강진의 가능성도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다.
지진 관련 일반 국민들의 불안감을 감안해 최근 한국지진의 추이와 원전의 내진설계 및 각종 지진 대비 설비에 대해 심층 취재했다.
한국 규모 5.0 이상 7회, 일본 3천300회
규모별 연간 지진발생 빈도
우리나라의 지진활동 관측은 1905년부터 시작됐지만, 비교적 정확한 지진관측은 1978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1978년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연간 약 20회 기록됐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약 50회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규모 3.0 이상의 지진발생 빈도는 연간 약 10회로 현재까지 변화 없이 동일한 수준이다.
이는 1990년대 이후 국내 지진 관측망의 증가와 더불어 지진관측기술이 발달되기 시작하면서 매우 작은 규모의 미소 지진 감지능력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즉 지진계측 초기에 감지가 되지 않던 규모 3.0 미만의 지진을 감지한 후 총 지진발생 횟수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관측 능력의 향상 때문이다.
김근경 한수원 중앙연구원 플랜트건설연구소장은 “계기지진 관측 이래 우리나라에서는 지진활동이 증가되거나 활발해진다는 특이할 만한 증거는 보이지 않는다”면서 “지진발생 위치를 보면 특정한 지역에 편중되지 않고 규모 4.0 이상의 지진의 진앙지도 전역에서 분산돼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지진활동의 빈도를 일본과 비교해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978년 이후 규모 5.0 이상의 지진발생 빈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7회에 불과하지만, 일본에서는 3천300회 이상 발생하고 있다.
이는 지진활동이 활발한 태평양을 둘러싼 지진 빈발 지역인 일본, 대만, 미국 서부 지역과 같이 판 경계에 위치하는 지역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판 내부 환경이기 때문에 지진발생 규모 및 발생빈도가 극히 작고 저조한 편이다.
울산해역 지진 우려할 수준 아니야
울산 해역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은 북북동 방향의 주향이동(수평이동) 단층에 기인한 지진으로, 진앙지에서 약 51km에 위치하는 월성 원전에서 계측된 최대지반가속도값은 0.0144g(1g=981cm/sec2)로써 원전 설계지진인 0.2g(규모 6.5)의 10분의1 이하의 크기로 원전 안전성에 미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2000년 이후 울산 해역에서는 규모 2.0 이상의 미소 지진이 수차례 발생한 사례가 있으나, 이들 지진의 진앙지 인근 해역에는 대규모 활성단층이 존재한다는 특별한 지질구조가 관측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 원자력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해저단층과 지진발생이 연관성이 있으려면 단층선을 따라서 큰 규모의 지진이 일관되고 집중적으로 발생할 경우 활성단층대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울산 해역의 지진분포를 볼 때 규모가 작고 발생빈도도 낮은 지진이어서 이 지진이 해저단층과 연관성을 가진다고 볼 수 없다.
[전문]
http://www.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965030
황기환 기자 경북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