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빨리 한국'은 이제 옛말...혁신속도 중국에도 뒤져"


상의, 300개사 혁신 조사 

"구글 100㎞ 변할 때 한국 59㎞"

기업 85% 

"한국기업 혁신속도, 중국보다 느려"

 

   한국기업의 혁신 속도가 구글 등 세계 선도기업은 커녕 중국기업에 비해서도 훨씬 느리다는 지적이 나왔다.

edited by kcontents 


대한상공회의소는 22일 국내 제조업체 300여개사를 대상으로 '우리기업 혁신의 현주소와 향후과제 조사'를 통해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업종에서 지구촌 최고 혁신기업은 어느나라 출신인가'라는 질문에 기업들은 미국, 일본, 중국 등을 꼽았다. 이어 '최고 혁신기업이 시속 100㎞ 변한다고 할 때 귀사는 어느 정도인가'라는 물음에 평균속도 58.9㎞라는 응답이 나왔다.

 

한국은 중국 보다도 순위가 낮았다. 실제로 '중국이 한국보다 혁신속도가 빠른가'라는 물음에 응답기업의 84.7%가 '그렇다'고 답했다. 기업들이 체감하는 '중국이 100㎞ 변할때 한국의 속도'는 평균 70.9㎞대에 불과했다.

 

울산의 반도체부품 생산기업 관계자는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3~4년 정도나긴 하지만 인재들을 대거 싹쓸이 하는 경우가 많아 따라잡히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우리는 제도적 지원 부족, 구시대적 경영 등으로 연구를 위한 연구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고 털어놨다.

 

기업들은 혁신에 있어서 기업들이 과도한 사회적 부담을 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혁신을 위한 경제주체들의 비중을 백분율로 묻는 질문에는 기업(57.5%), 정부(22.3%), 학계(11.7%), 국회(8.5%)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혁신정책중 효과적이었던 정책을 묻는 질문에 '혁신을 위한 자금지원'(44.3%)이 가장 많았다. '미래신산업 성장 기반 구축'(43.3%), '실패 기업인의 재도전 지원'(27.7%)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정책의 한계를 묻는 질문에는 '단기실적, 성과에만 초점을 맞추려 한다'(62.3%), '특정분야에 지원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32.0%), '정책홍보가 부족해 지원정책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잦다'(30.7%) 등이 거론됐다.

업종별로 이른바 전자(63.8㎞)와 자동차(65.5㎞)의 혁신속도가 그나마 빠른 편이었고 조선(57.7㎞), 철강(54.8㎞), 기계(52.7㎞) 등은 다소 처지는 모습이었다.

 

신현한 연세대 교수는 "미국은 오래전부터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을 해왔고 중국은 규제 걸림돌이 많지 않아 무엇이든 시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며 "우리기업 혁신의 가장 큰 걸림돌은 정해진 것만 할 수 있는 포지티브(positive) 규제시스템, 구시대적인 기업문화"라고 진단했다.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