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공사 자원개발 부문, 가스공사 또는 민간으로 이관 추진
산업부,
해외 자원개발 기능 통합 연구 용역 시행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의 해외 자원개발 기능을 통합하는 등의 자원공기업 구조조정안이 나왔다.
[참고자료] 출처 조선일보
19일 산업부가 해외자원개발 개선방향과 자원공기업의 구조조정 방안을 위해 딜로이트 안진 회계법인을 통해 수행한 연구용역에 따르면 석유·가스 자원개발 개편 방안으로
▲석유 자원개발 기능 민관 이관
▲석유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
▲석유공사 자원개발 기능을 가스공사로 이관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의 통합이 제시됐다.
딜로이트는 현재 석유공사와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 등 자원공기업 3사의 재무건전성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광물자원공사의 부채비율은 무려 6905%에 달할 정도로 부실하다. 석유공사와 가스공사도 각각 453%, 321%로 높다.
반면 자원개발 역량과 사업관리 역량은 글로벌 메이저사들과 비교해 매우 부족하다는 게 딜로이트의 설명이다.
딜로이트는 석유공사의 석유 자원개발 기능을 민관으로 이관할 때의 장점으로 정부 재정부담과 리스크 완화, 한국석유공사의 핵심역량 집중을 꼽았다. 다만, 석유공사가 보유한 자산에 대한 매각금액이 저평가 될 수 있고 석유공사 핵심인력이 민간 기업으로 이전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석유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은 자회사로서 독립적 운영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국제 신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현재의 부실상황 재현이 되고 기존의 비효율성을 단기적으로 해소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석유공사의 자원개발 기능을 가스공사로 이관하는 안에 대해서는 투자자금과 인력의 중복 문제의 해결과 수평·수직 통합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미래 투자부담과 양사가 동반 부실할 수 있다는 점을 장애요인으로 제시했다.
석유공사와 가스공사의 통합과 관련해서는 대형화를 통해 국제적 위상이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상장사로서 민간자본 유치가 용이하고 투자자금과 인력 중복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양사 통합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에 대해서는 상장사로서 국제신용도가 하락하고 석유공사의 부실 이전으로 양사가 동반 부실의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광물 자원개발의 개편방안으로는 ▲광물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 ▲민간의 광물자원공사 자원개발 사업 참여가 제시됐다.
딜로이트는 광물 자원개발 전문회사 신설에 대해서는 우량자산과 부실자산 간의 고리를 끊을 수 있고 광물자원개발 역량을 지속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시했다.
하지만 현재의 부실상황이 재연될 수 있고 기존의 비효율성을 단기적으로 해소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내다봤다.
광물자원공사 자원개발에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것에 대해서는 수요기업 중심 사업추진으로 사업 안정성과 활성화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다만, 기능의 대폭축소로 인해 직원들이 반발할 수 있다는 점을 단점으로 꼽았다.
한편, 정부가 해외자원개발 정책 실패를 에너지 공기업 구조조정으로 덮으려한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석유공사와 광물자원공사, 가스공사 등 자원공기업들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데는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정책이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정형석 기자 azar76@electimes.com 전기신문
k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