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면적, 1년 새 여의도의 4배 증가
한몫하는 유인도와 무인도,
국토면적의 3.5% 여의도 면적의 1223배
공유수면매립, 토지개발사업, 구획정리 등으로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국토정책 수립과 행정업무 활용에 기초가 되는 ‘16년 지적통계연보(2015.12.31.기준)를 발간한다고 10일 공식발표했다.
15년 국토면적 증가 주요내용
국토부
edited by kcontents
< 지적통계연보란? >
1970년 최초 발간된 국가승인통계로 전국의 지적공부에 등록된 정보를 활용하여 1년 주기로 국토의 행정구역별, 지목별, 소유구분별 현황을 수록
‘16년 지적통계연보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전 국토의 면적은 100,295㎢(’15.12.31. 지적공부등록 기준)로, 1년 새 여의도면적의 4배인 11㎢가 증가했다.
* 여의도 면적(윤중로 제방 안쪽): 2.9㎢
* 독도 면적: 0.18㎢ (여의도 면적 대비 1/16 수준)
* 10년 전(‘05.12.31기준) 국토의 등록면적(99,645㎢)에 비해 여의도의 224배인 650㎢ 증가한 수준
주요 증가사유는 전남 광양시 황길동 공유수면매립 및 토지개발사업 3.9㎢, 경기도 안산시·시흥시 구획정리(시화MTV)사업 완료 1.9㎢, 인천신항(10공구 및 바다쉼터) 신규등록 등 3개사업 1.4㎢ 등이다. <붙임1> 참조
이번 지적통계를 살펴보면, 행정구역별 토지면적은 광역자치단체는 경북 19,031㎢, 강원 16,826㎢, 전남 12,313㎢ 순으로 면적이 크고, 세종 465㎢, 광주 501㎢, 대전 539㎢ 순으로 면적이 작다.
한편, 기초자치단체는 강원 홍천군 1,820㎢, 강원 인제군 1,645㎢, 경북 안동시 1,522㎢ 순으로 면적이 크고, 부산 중구 2.8㎢, 대구 중구 7.1㎢, 인천 동구 7.2㎢ 순으로 면적이 작다.
지목별 토지면적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시행령」제58조에 따른 28개 지목에 따라 구분하여 작성하였으며, 농경지(전·답·과수원·목장용지)와 임야는 204㎢ 감소하고, 대(垈)와 공장용지는 80㎢ 증가, 기반시설(도로·철도용지·하천·제방)은 54㎢ 증가
면적이 가장 큰 지목은 임야로 64,003㎢(63.8%)이며, 농경지는 20,274㎢(20.21%)이며, 대(垈)와 공장용지는 3,907㎢(3.9%)이다.
* 지역별로 보면, 임야는 강원이 13,786㎢(21.5%)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농경지는 전남이 3,327㎢(16.4%)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고, 대(垈)와 공장용지는 경기가 737㎢(18.9%)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소유구분별 토지면적은 개인, 국·공유지, 법인 및 비법인, 외국인 등 10종으로 소유형태를 구분하여 작성하였으며, 개인소유토지 51,972㎢(52%), 국·공유지 32,862㎢(33%), 법인 및 비법인 15,123㎢(15%) 순이며, 외국인토지는 133㎢(0.13%)이다.
* 지역별로 보면, 개인토지는 경북이 10,469㎢(20.1%)로 가장 많고, 국·공유지는 강원도가 10,122㎢(30.8%)로 가장 많으며, 법인 및 비법인은 경북이 2,905㎢(19.2%)로 가장 많고, 외국인토지는 경기가 32㎢(24.4%)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하는 섬통계는 ‘만조시 해수면 위로 드러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섬’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제주도 본도(本島)와 간척사업 등으로 육지와 연결된 섬은 제외하였다. <붙임2> 참조
국토부는 공공·민간의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적통계연보를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언론사 등 600여 기관에 5월 중 배부하고,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통계누리, 통계청 e-나라지표,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등에서 확인가능하다고 밝혔다.
국토부
k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