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실적, 현대건설 GS건설 웃고...삼성물산 '깊은 한숨


현대, 해외부문서 수익성 개선

GS, 매출·수주·이익 고른성장

삼성은 통합후 2분기 연속 적자 


    1분기 실적발표에서 현대건설과 GS건설이 웃고 삼성물산은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출처 조선비즈

edited by kcontents 


27일 3개 건설사가 1분기 잠정 영업실적을 발표한 결과 현대건설과 GS건설은 흑자 기조를 이어간 반면 삼성물산은 2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현대건설은 저유가와 경기침체 속에서도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늘어나면서 매출액 4조2879억원, 영업이익 2072억원, 당기순이익 869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1분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익은 각각 8.7%, 3.3% 증가하고 순이익은 22.2% 감소한 수치다. 


현대건설은 해외부문 매출 증가와 수익성 개선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됐다고 밝혔다. 베네수엘라 푸에르토 라크루즈 정유공장, UAE 사브 해상원유처리시설, 현대케미칼 혼잡자일렌 프로젝트 등 국내외 대형 공사가 매출로 이어졌다. 미수채권은 작년보다 2221억원 줄어든 3조5261억원, 미청구공사액은 763억원 줄인 2조5048억원이었다.


1분기 신규 수주 성장세도 눈에 띈다. 쿠웨이트 알주르 LNG터미널을 비롯해 고양 삼송오피스텔 공사 등을 따내며 작년보다 69.3% 증가한 5조2025억원의 수주액을 기록했다. 수주잔고는 67조6717억원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26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통영·평택·삼척 LNG탱크 입찰담합 결정에 따른 과징금을 미리 반영하면서 순이익은 작년보다 감소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해외 부문에서의 수익성 개선과 지속적인 원가율 개선 노력 등으로 성장세를 보였다"며 "앞으로도 양적 성장보다는 수익성 중심의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춰 안정적인 실적을 내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처음으로 연매출 10조원을 돌파한 GS건설은 매출과 수주, 이익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보이며 8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매출액 2조6391억원, 영업이익 291억원, 당기순이익 116억원으로, 각각 작년 1분기보다 13.96%, 45.48%, 700.4% 늘었다. 신규 수주는 3조9974억원으로 98.1% 증가했다.


GS건설의 성장세는 주택·건축부문이 이끌었다. 주택·건축 매출은 9391억원으로 작년 1분기보다 52.7% 증가했다. 은평스카이뷰자이(2150억원), 킨텍스 원시티(4100억원), LG디스플레이 공장(4720억원), 싱가포르 지하철차량기지(1조7290억원) 등 국내와 해외에서 고른 실적을 냈다.


GS건설 관계자는 "수익성에 기반한 선별 수주와 경쟁력 우위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삼성물산은 작년 9월 통합법인 출범 이후 2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매출액 6조4870억원, 영업손실 4348억원, 당기순손실 5166억원으로, 매출액이 작년 4분기 대비 10.2% 감소했다. 영업손실과 순손실은 각각 387.8%, 219.5% 줄었다. 


상사와 바이오를 제외한 모든 부문의 매출액이 줄었다. 건설은 6570억원 감소한 2조7930억원, 패션은 570억원 감소한 4770억원, 리조트는 690억원 감소한 5240억원이었다. 상사는 90억원 증가한 2조6050억원, 바이오는 400억원 증가한 880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영업익은 상사(20억원)와 패션(70억원)만 기록했을 뿐 건설(4150억원), 리조트(40억원), 바이오(250억원)는 영업손실을 봤다. 


건설부문은 수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손익관리 기준을 대폭 강화해 영업손실이 커졌다. 상사는 화학과 철강 거래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유전 투자 손실 때문에 이익이 줄었다. 패션은 최성수기인 겨울이 지나면서 매출이 감소했고, 리조트도 입장객 감소로 줄었다. 다만, 바이오는 1공장이 본격적으로 상업 생산을 시작하면서 매출이 늘어났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건설부문의 경우 원가상승 요인을 손실로 바로 반영하고 수익은 확정 시점에 인식하는 방식으로 기준을 바꾸면서 예측 가능한 손실을 미리 반영했다"며 "이 기준이 자리잡으면 점차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허우영기자 yenny@ 디지털타임스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