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과잉 '중국산 철강', OECD서 해법 찾는다...中 제재방안도 모색


18일 브뤼셀서 긴급 심포지엄

포스코 등 국내업체 대거 참석

구조개혁 등 공급과잉 해소방안 논의


    오는 18일 미국·일본·독일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이 벨기에 브뤼셀에서 긴급 심포지엄을 열어 철강 산업의 글로벌 공급과잉 해소방안을 논의한다. 



OECD 철강위원회에 앞서 개최되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각국 정부 관계자 및 전문가들이 참석해 중국의 덤핑공세 등으로 혼탁해지고 있는 글로벌 철강시장을 진단하고 중국 제재 방안, 설비 조정을 통한 구조조정 등 폭넓은 해법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포스코·현대제철 등 유수의 철강 업체들이 참여한다. 특히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일명 원샷법)’ 시행을 4개월 남짓 앞두고 철강협회가 조만간 업종분석 보고서 용역 발주에 들어가는 미묘한 시점이라 이번 OECD 회원국 간 논의가 국내 철강 산업 재편에도 적잖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6일 “회원국 무역현안을 다루기 위해 매년 두 번 개최되는 OECD 철강위원회와 연계해 하루 전에 고위급 심포지엄을 여는 것”이라며 “회원국들이 특정 주제로 심포지엄을 여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그만큼 철강 산업을 둘러싼 위기감이 전 세계적으로 높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그는 “과잉공급의 진원지로 꼽히는 중국도 (OECD 회원국은 아니지만) 심포지엄에 초청돼 구조개혁 방안 등 전반에 대해 의견을 나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세계철강협회(WSA)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과잉 생산된 철강 규모는 6억9,300만톤(2014년 말 기준)에 이른다. 3년 전보다 2억1,000만톤 증가한 것이다.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인 중국의 경우 8억2,200만톤을 생산했는데 이의 절반인 4억톤이 수요를 넘어서는 잉여물량으로 분류된다. 이런 물량 대부분은 수출로 풀리고 있다. 문제는 그 과정에서 중국 업체들이 가격 후려치기 등 제 살 깎아 먹기 경쟁을 일삼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연평균 30건 수준이던 철강 관련 보호무역 조치는 지난해 50여건(비공식 조치 포함)으로 급증했다. 이런 이유로 유럽을 중심으로 OECD 회원국 일부에서는 중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상태다. 


 

최근 중국의 한 철강회사에 쌓여 있는 제품들. 철강 산업이 글로벌 수요 부진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연합뉴스


다급해진 중국 정부도 올 초 철강 분야 공급개혁을 꺼냈다. 중국 정부가 공언한 감축물량은 1억5,000만톤. 물량 자체만 보면 실제 공급과잉 물량(4억톤)을 크게 밑도는데다 계획대로 이행될지도 미지수다. 다만 지난 3월 우리 철강 수출이 전년 대비 14.7% 증가하는 등 중국 구조조정의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이번 OECD 논의에서 과잉공급 해소를 위해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개진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드러내놓고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정부는 이번 행사가 구조조정에 미온적인 국내 업체를 변화시키는 촉매제가 되기를 내심 바라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관계자는 “일본만 해도 최대 철강 업체인 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이 최근 닛산제강을 인수하는 등 악화하고 있는 사업환경에 맞춰 산업재편이 활발한 데 비해 국내는 지지부진하다”며 “부진한 업황 사이클이 단시일 내에 반전되기 어렵다는 공감대가 광범위하게 힘을 얻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이 이번 심포지엄 참가로) 경영전략을 마련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실제 상당수 국내 철강 업체들은 이번 심포지엄에 참석한다. 각국 정부의 정책을 살펴볼 수 있고 해외 철강 업체들과의 교류를 통해 정보도 수집할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OECD라는 기구의 성격상 심포지엄과 철강위원회를 통해 구속력을 갖춘 조치가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선진국 각국 고위관료가 철강 산업에 대한 위기감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눈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국내 철강 업계가 구조조정을 목전에 두고 있다는 점도 이번 행사에 더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철강협회는 최근 업종분석 보고서 발주를 위해 글로벌 컨설팅 업체와 접촉하고 있다. 객관성 시비를 피하고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국내 컨설팅 업체는 아예 배제했다. 최종 컨설팅 업체가 선정되면 개별 설비별 공급과잉 현황 등이 담긴 보고서가 7월께 나오게 된다. 이후에는 업종 구조조정을 위한 움직임도 빨라져 인수합병(M&A) 회오리가 몰아칠 가능성도 있다. 

세종=이상훈·박홍용기자 shlee@sedaily.com 서울경제,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