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6조 가치 '갯벌 복원 자원화' 본격 추진


해양수산부

우리나라 갯벌 면적 2,500㎢(‘13년 기준)

국토 면적의 2.5%, 

연간 약 16조원 경제적 가치 제공

갯벌 복원으로 생태계 기능 회복 

생태관광 활성화 및 갯벌어업 육성 

갯벌의 새로운 가치 창출 방안 마련 연구 추진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지난해 발표한 ‘갯벌 복원을 통한 자원화 종합계획’에 대한 후속 조치의 하나로 갯벌 자원 활성화 연구를 추진한다.

 


출처 에너지경제

edited by kcontents 


  우리나라 갯벌 면적은 2,500㎢(‘13년 기준)로 국토 면적의 2.5%이며, 연간 약 16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1987년 이후 연안 개발행위 등으로 여의도 면적의 247배에 달하는 716㎢의 갯벌이 상실됐다. 이는 하수처리장 140개소가 사라지는 것과 같은 손실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 수산물 생산 기능, 서식처 기능, 수질정화 기능 등 연간 63억원/㎢의 경제적 가치를 보임(2013, 서울과학기술대학)

 ** 2006년 기준 국내 하수종말처리장의 1일 평균 COD 제거량은 약 20톤으로 이는 갯벌 약 5㎢의 유기물 제거량과 동일한 수준(2009, 인하대학교)

 

이에 해수부는 2008년부터 지자체 수요조사 등을 통해 갯벌 복원대상지를 선정하여 2010년부터 현재까지 사천, 고창, 신안 등 8개소 갯벌복원사업을 완료했다. 2016년 현재 강화 동검도, 태안 근소만, 순천만 갯벌 복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동안 정부가 추진한 갯벌복원은 해수유통을 통한 폐염전·노두길 복원 등에 한정되어 있었다. 또 복원 대상지 선정 기준이 불명확하고 복원 후 효과에 대한 평가가 없다는 문제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해양수산부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국 갯벌 현황 조사를 통하여 지역 여건?갯벌 생태환경 변화 등을 반영한 갯벌복원대상지를 다시 선정하고, 복원 대상지 선정 기준 및 갯벌 복원 지침, 복원 사업 평가 기준 마련 등으로 선진 갯벌복원사업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의 갯벌 복원 방식에서 연안생태계 보전, 수산자원 회복, 갯벌 생태관광지 조성 등과 연계한 복합형 갯벌복원사업으로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박승준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기존의 물리적 구조변경에 한정된 복원(1세대)에서 복원 후 활용방안까지 고려한 복합형 복원(2?3세대)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라며, “동 연구를 통해서 생태기능회복, 생태관광, 수산자원 등을 연계한 복원 사업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

kcontents


댓글()